밀물과 썰물은 왜 일어날까. 달의 인력에, 지구 자전으로 생기는 원심력이 더해지기 때문이란 해석이 일반적이다.

 즉, 달쪽을 향한 바닷물이 달의 인력에 의해 부풀어 오를 때 지구 반대편의 바닷물도 원심력에 의해 부풀어 오른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바다가 밀물이 될 때 우루과이의 바다 역시 밀물이 되는 것이다. 지구가 하루에 한번 자전하는 동안 한번은 인력에 의해서, 또 한번은 원심력에 의해서 두번의 밀물이 발생한다. 태양도 밀물과 썰물에 영향을 미치지만 달보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미미하다.
 밀물과 썰물은 해안선 및 해저의 모양과 크기에도 영향을 받는다. 만이나 해협 등과 같이 막혀있는 지형에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15.2m나 되는 경우도 있고, 조류 속도가 10노트까지 나올 때도 있다. 서해는 동해나 남해와 달리 바다가 육지 깊숙이 들어와 막혀 있는 형태라 밀물 때 해수면이 더욱 높아지고, 썰물때는 반대로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인천의 경우 수심이 낮은데다가 옹진반도 해안선의 영향으로 조차가 10m쯤 되지만, 속초는 수심이 깊은 동해의 특성과 굴곡이 없는 해안선의 영향으로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1~2m에 불과하다.
 한편, 해안에서 하루 중 바닷물이 들어와 해수면이 가장 높아졌을 때를 `고조(만조)', 가장 낮아졌을 때를 `저조(간조)'라고 한다.
 이 차이를 `조차(조석차)'라 하며, 조석에 의해 변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조위(조고)'라고 부른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환경안전과 자료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