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승객들의 가장 큰 불만중 하나는 고무줄 배차간격일 것이다.
이런 불만들을 없애기 위해 경기도가 'G-Bus'정책을 내놨다. 버스에 브랜드 개념을 도입하고 고급화를 지향하는 'G-Bus'정책은 크게 ▲버스 내·외부 업그레이드 ▲실시간버스 정보제공 서비스 도입으로 압축된다.
버스운행관리와 실시간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구축된 BMS/BIS 시스템은 이용자 서비스적 측면과 데이터 수집을 통한 운행관리 등 두가지 측면을 동시에 충족시킨다.
각 버스에 부착된 GPS(위성항법장치)는 실시간 버스의 위치정보를 경기도교통정보센터로 전송하고 센터는 수집한 원데이터를 가공해 승객들에게 전달하거나 버스정책자료로 쓸수 있다.
따라서 승객은 승강장에서 자신이 기다리는 버스의 현위치와 예상도착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서도 관련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교통정보센터의 경우 버스의 위치정보를 통해 배차[2] 버스가 똑똑해진다-대중교통 활성화
간격 준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정체구간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다.
버스가 똑똑해지는 것 못지않게 기대되는 것이 편의성이다.
경기도가 'G-Bus'라는 브랜드를 도입한 것도 단순히 버스의 외양을 통일한다는 측면을 넘어서 서비스의 고급화에 대한 욕심 때문이었다.
도는 각 버스마다 안전봉을 추가 설치하고 고급 플라스틱 시트를 깔았다. 또 실내조명을 밝게 하고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설치하는 등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이와함께 승객이 쉽게 버스번호와 노선을 알아볼 수 있도록 발광형 행선시 표시장치를 부착했다.
버스의 내적 개선과 함께 외적 환경도 정비된다. 그 핵심은 구불구불한 노선을 합리적으로 펴는 버스노선체계 개편이다. 도는 버스 노선을 지선과 간선으로 구분할 예정이다. 지선버스는 단일행정구역내 단거리 통행수요를, 간선버스는 시·군간 혹은 시·도간 장거리 통행수요를 각각 담당한다. 도는 각종 민원으로 시군들인 버스체계 개편에 소극적인 점을 감안, 시장·군수에게 위임됐던 광역버스에 대한 인·면허권을 회수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버스노선의 개혁없이는 버스정책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노선개편과 함께 중요한 문제중 하나가 버스의 혼잡률을 낮추는 것이다. 도는 노선별 혼잡률을 조사·분석해 시간대별로 적정한 버스가 운행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노선개편과 같은 제도적 정비와 더불어 정류장 및 터미널 등도 버스의 외적 환경중 하나다. 도는 버스터미널에 전산화 시설을 확대해 예매 및 발권 시스템의 온라인화를 강화하고 시외버스 정류장에는 비가림시설, 의자, 노선별 운행시간 등을 두루 갖춘 표준모델을 만들어 설치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함께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확대도 계획돼 있다. 도는 현재 18개 노선 75대에 불과한 저상버스를 2014년까지 전체 버스의 40% 수준으로 확대보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