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구도심 재개발 바람

지난 8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간석초등학교 주변.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동의서를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골목 곳곳에 걸려 있었다.

재건축사업이 한창 진행 중인 구월주공·간석주공과 접해 있는 간석초교 일대는 '2010 인천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반영된 주택재개발사업예정지. 인천시는 지난해 8월 간석초교 일대 6만6천여평을 하나의 사업예정지로 묶어 고시했다.

그러나 현재 주택재개발사업을 위한 움직임은 1·2·3구역으로 쪼개져 있다.

하나의 사업예정지에 3개의 추진위원회가 생길 판이다. 1·3구역은 예전부터 재건축을 추진하다가 재개발로 사업 유형이 바뀌었고, 2구역은 이들 구역보다 늦게 재개발에 뛰어들었다.

2구역 임시사무실(추진위원회 설립 전 단계) 관계자는 "1·2구역 사이에는 도로와 협의지역이 있어 함께 가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3구역은 면적이 작기 때문에 같이 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3구역 임시사무실 관계자의 말은 다르다. 이 관계자는 "2구역에 통합을 제안했는 데 아직까지 답변이 없다"며 "재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려면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간석주공 재건축사업 현장과 맞닿아 있는 1구역은 지난 2002년부터 재건축을 추진했었다. 1구역 임시사무실 관계자는 "빨리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따로 가야 한다"며 "각 구역별로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합치면 사업이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가 지난해 마련한 '2010 인천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안'을 보면 재개발을 준비 중이거나 앞두고 있는 지역은 125곳. 하나의 사업예정지에 2개 이상의 개발주체가 있는 곳이 무려 11곳이나 된다고 한다. 도시기반시설을 제대로 갖추기 위해 규모가 작은 재개발사업예정지를 하나로 묶었더니 또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간석초교 일대가 재개발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외지인의 발길이 잦아졌다. A부동산중개업소의 한 직원은 "서울에서 내려와 '지하도 좋으니 물건 있으면 연락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한다"며 "재개발 소식 이후 집값이 많이 올라 낡은 빌라도 1억원 정도 줘야 한다"고 귀띔했다. B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땅 지분으로 계산해서 평당 100만~300만원 정도 올랐다"며 "평당 1천300만원까지는 거뜬히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도시개발사업구역으로 지정된 동춘1구역은 세입자와 무허가 건물주들이 이주대책 수립을 요구하고 있고, 옥골지구는 2개 조직의 힘겨루기가 계속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인 인천대 주변 도화구역은 보상·이주문제로 시끄럽다. 도화지구개발비상대책위원회는 '인천대길' 등 인천대 주변 도로변에 자신들의 요구를 담은 현수막을 2~3 간격으로 내걸었다. 주로 시유지 임차인들로 구성된 비대위의 요구사항은 크게 세 가지. ▲대토 제공 ▲이전·영업손실·건물 보상 ▲시유지 사용료 탕감 등이다. 비대위에서 행정사무장을 맡고 있는 이경우씨는 "10년 넘게 이 곳에서 살고 있는 데 길거리로 내쫓기게 생겼다"며 깊게 한숨을 내쉬었다.

부평구 부개동에서 22년간 살아온 윤옥자씨는 앞으로 어디서 어떻게 살아야 할 지 고민이다. 지금까지는 15평 남짓한 무허가 주택에서 세 식구가 그럭저럭 살아왔으나 동네가 재개발(주거환경개선사업)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윤씨가 통보받은 보상금은 2천만원 정도. 윤씨는 "이 돈으로는 인근에서 전세 얻기도 힘들다"며 "재개발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디가서 살게는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될 제물포 역세권 주변은 아직까지 조용하다. 그러나 개발이 본격화되면 상당한 홍역을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단독주택 소유자와 세입자들이 문제다. 개발기간 동안 상권 위축현상도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곳에 과일가게를 운영하는 이숙자(가명)씨는 "상가주인이나 좋지 우리 같은 사람(임차인)은 가게를 어디로 옮겨야 할 지 막막하다"며 "나중에 이 동네로 다시 돌아올 수 있을 지 모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