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산업의 근간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 제조업의 '탈(脫) 인천' 현상이 가속화 하고 있다.

또 제조업체의 종사자 수, 부가가치, 그리고 유형자산 등도 모두 줄어들고 있다. 이는 인천 경제 지표에 '이상 신호'가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인천시가 최근 발행한 '2005년 기준 광업·제조업 통계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종사자 5명 이상의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는 9천484개로, 2004년에 비해 무려 630개나 감소(6.2%)했다.

연도별 제조업체 수를 비교해 보면 최근의 제조업체 수 감소현상이 얼마나 심각한 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2001년 9천50개에서 2002년 9천614개로 늘었고, 2003년 1만122개로 정점을 이루던 인천지역 제조업체 수는 2004년 1만114개로 0.1% 줄었다. 이러던 것이 2005년에 급감한 것이다. 업체 수로만 보면 2002년 이전 수준으로 떨어진 꼴이다.<표 참조>

다만 컴퓨터와 사무용 기기, 자동차·트레일러 분야 사업체 수는 증가했다. 전통적 의미의 제조업 탈 인천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또 생산액에서 주 재료비를 뺀 광업·제조업체의 부가가치도 15조2천470억원으로 2004년에 비해 2.5%(3천860억원) 감소했다.

말 그대로 제조업의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이런 현상은 한창 일할 연령대의 구직난으로 그대로 이어진다.

2001년 마흔 셋의 나이에 대우자동차(현 GM대우)를 명예퇴직한 손모(인천 서구 가좌동)씨는 아직도 직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친구들과 벤처기업을 창업했지만 퇴직금 6천만원만 날렸다. 이후엔 가족 생계를 위해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지만 쉽지 않았다. 심지어 다단계 판매에도 손을 댔지만 여의치 않았다.

인천 전역이 온통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기존도심 재생 등 화려하고 거창한 프로젝트에 들떠 있는 동안 그 그늘도 그만큼 깊어진 것이다.

강병구 인하대 경제학부 교수는 "산업부문을 비롯한 경제 양극화는 산업 연관 관계 미약, 중소기업 성장기반 취약, 고용구조 악화와 소득재분배 기능의 미흡 등 구조적 원인 때문에 나타난다"면서 이런 양극화 현상이 더 깊어지기 전에 처방전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