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지역 제조업체 수가 급격히 줄고, 종사자와 부가가치, 그리고 유형자산 등 제조업과 관련한 대부분의 경기 반영 지표가 뚜렷한 감소 현상을 보인다는 것은 인천 입장에선 놀라운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최근 국내외 유명 대학은 물론 거대 기업의 인천 진출이 가시화하는 상황에서 그동안 인천 경제를 떠받치고 있던 제조업 경기가 곤두박칠치고 있다는 점이 시정부 입장에선 믿기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경인일보가 단독 입수한 '2005년 기준 광업·제조업 통계조사 보고서'엔 이런 현상이 구체적인 데이터로 드러나 있다. 이 때문인지 시는 이 내용을 철저히 비밀에 부치고 있다.
인천의 2005년 종사자 5명 이상 사업체 수가 2001년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물론 종사자 수와 부가가치, 유형자산 모두 줄었다. 다만 출하액은 46조7천820억원으로 2004년에 비해 6.0%(2조6천450억원) 증가했다.
특히 이를 각 군·구 등 지역별로 나눠놓고 보면 그 편차가 두드러진다. 제조업 분야의 지역간 양극화 현상도 깊어짐을 알 수 있다.
강화와 옹진 지역의 제조업체수 감소율이 각각 17.2%와 16.7%로 나타났고 섬지역의 제조업 감소 현상이 가장 컸다. 눈에 띄는 점은 서구에서도 14.4%가 줄었다는 것이다. 또 중구(6.8%), 동구(1.0%), 남동구(3.1%), 계양구(4.9%) 등지에서 제조업체가 줄었다.
그러나 남구에선 7.0%가, 부평구에선 0.6%가 각각 증가했다. 연수구는 2004년과 2005년이 각각 49개로 그대로였다.
종사자 수에선 옹진군을 제외하곤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다. 옹진군에서만 8.7%가 늘었다. 가장 많이 준 곳은 연수구와 동구였다. 연수구는 482명에서 413명으로 14.3%가, 동구는 9천6명에서 7천969명으로 11.5%가 줄었다.
여기에서도 명암이 뚜렷하다.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 기타 전기기계 및 전기변환 장치 등은 증가한 반면, 전자부품,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가구 및 기타제품 등은 감소한 것이다.
토지와 1년 이상 내구성 있는 건축물 등을 나타내는 유형자산에선 계양구와 부평구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감소 현상이 뚜렷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전통 제조업이 인천을 떠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쪽 제조업은 2003년 771개에서 2004년 717개, 2005년 612개 등으로 급격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또 봉제의복을 제외한 섬유제품 분야도 207개(2003년), 203개(2004년), 178개(2005년) 등으로 떨어지고 있다.
다만 컴퓨터와 사무용 기기 제조업에서 2004년 63개에서 2005년 71개로 뛰었다.
제조업의 유형자산이 가장 많은 곳은 남동산업단지가 있는 남동구로 나타났다. 2005년도 남동구는 4조3천620억원이었고, 다음이 서구(4조1천350억원), 부평구(2조7천30억원) 등이었다. 산업단지가 있는 지역의 유형자산이 많았던 것이다. 그러나 아파트 단지 등 주택가가 밀집한 연수구는 100억원에 불과했고, 옹진군은 고작 10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인천지역 5인 이상 제조업체 근로자의 총 급여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퇴직금을 제외한 급여액 총액이 2003년 4조원대를 돌파한 이후 2004년 4조2천186억3천만원에서 2005년 4조4천76억6천800만원으로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임금 격차 또한 컸다.
인하대학교 노사관계혁신센터가 지난해 연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299명 규모의 중소기업의 경우 1999년 대기업 임금의 91.4% 수준이던 것이 2004년엔 77.7%대로 떨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