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연안부두를 이용하는 선사와 선주 등에 따르면 부두내 4개 잔교(선박이 접안하면 승객이 타고 내릴 수 있는 시설) 주변을 중심으로 조류에 떠밀려 온 토사가 쌓이고 있다. 하지만 이 일대는 90년대말 수심 확보를 위한 준설작업이 이뤄졌을 뿐 이후 현재까지 단 한차례도 준설작업이 없었다.
이 때문에 잔교 주변을 중심으로 퇴적토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최근들어 선박 가운데 일부는 접안과정에서 배 밑부분이 개펄 바닥과 닿는 등 사고 위험을 낳고 있다.
한 선사 관계자는 "연안부두 수심이 얕아지면서 개펄에 방치돼 있는 어망이나 로프 등이 선박 스크루에 감기는 등 사고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연안부두를 드나들 때도 항로 한가운데만 이용하려고 하는 바람에 선박들이 교행할 때면 충돌하지 않을까 조마조마한 상태"라고 말했다.
실제로 인천항만공사가 지난해 12월 인천항 일대의 수심을 측량한 결과, 연안부두 잔교 주변을 중심으로 최소 50㎝에서 최대 1가량의 준설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석간만의 차가 클 경우 일부 선박은 접안 자체를 할 수 없을 정도여서 운항을 포기하는 사례도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다.
연안부두 4개 잔교중 수심이 가장 얕은 1잔교를 이용하는 현대유람선의 경우 한달 평균 10항차가량 운항을 포기하고 있다.
1항차 운항을 포기할 경우 직접적인 피해만 300만원가량이지만, 결항에 따른 회사 이미지 실추 등 간접비용을 포함할 경우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게 회사측 주장이다.
현대유람선 관계자는 "최근들어 수심이 더욱 얕아지면서 한달이면 평균 10일가량은 출항에 애를 먹고 있다"며 "바닷물 수위가 낮아지는 시기에는 아예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연안부두 준설이 지연돼 이용 선박들이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데는 준설공사를 누가 해야 할 것인지를 두고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잔교 부근을 계류시설로 볼 것인지 아니면 수역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준설공사의 주체가 달라지는데, 그동안 양기관이 서로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바람에 준설이 지연됐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이르면 다음달중 수역관리권을 인천지방해양수산청으로부터 넘겨받는 만큼 연안부두 이용선박들의 안전한 항행을 위해 이른 시간내에 준설공사를 시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