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비용 저효율 항으로 인식돼온 인천항이 상용화를 계기로 재도약의 발판이 마련됐다. 상용화 체제 전환을 앞둔 가운데 5일 오후 인천항 2부두에서 항운노조원들이 수입산 소금을 하역하고 있다. /임순석기자·sseok@kyeongin.com
인천항운노조가 독점 공급하던 노무 인력을 하역회사가 상시 고용하는 이른바 인천항 상용화는 항만 개혁의 첫 단추를 푼 역사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9년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및 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는 상용화는 항만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필수 전제조건처럼 인식되고 있다.

고비용 저효율 항만의 대명사격으로 인식돼온 인천항은 상용화를 계기로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재도약의 발판이 마련됐다.

상용화는 종착역이 아니라 출발점이다.
노사 모두 경영 압박과 고용 불안이라는 일시적 충격이 불가피하지만 노사가 힘을 모아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한다. 상용화 이후에도 인천항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경쟁력 저해 요인을 찾아내 시대 흐름에 맞게끔 고쳐나가는 것도 풀어야 할 과제다.

경인일보는 3회에 걸쳐 인천항 상용화의 의미와 기대 효과, 화합과 발전을 위한 노사의 상생 그리고 상용화 이후 남아있는 과제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편집자 주>

대표적 노동집약 산업으로 분류됐던 항만하역 산업은 하역시스템의 기계화 추세에 발맞춰 점차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첨단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역기술의 발전과 함께 하역장비 현대화도 가속도가 붙으면서 '시간 단축과의 싸움'도 요구받고 있다.

인천항 상용화는 하역업계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끔 하는 토대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동안 인천항은 항만노무인력 공급권을 항운노조가 독점하면서 하역장비의 기계화 및 현대화가 거의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화물 유치를 위한 하역업계의 경쟁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여기서 기인한 '고비용 저효율 항만'이라는 불명예는 시장원리가 전혀 작동하지 않는 '무풍지대 인천항'의 상징이자 현주소였다.

인천항 상용화는 무풍지대에서 안주하던 인천항을 시장으로 끌어내 경쟁을 통한 비효율 제거라는 뚜렷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상용화 이후 하역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이 감소하면서 물류비가 크게 절감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보다 앞서 80년대말에서 90년대 중반 상용화 체제로 전환한 외국의 경우 최저 33%(뉴질랜드, 1989년 상용화 도입)에서 최고 52%(영국, 1989년)의 인력이 감소됐다.
인천항도 대략 30~40% 가량의 인력 감소를 예상하고 있다.

하역업체의 부두 운영과 투자 결정에 자율성이 확보됨에 따라 하역 장비 기계화 및 현대화에 대한 투자가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생산성 증대는 하역업계 내부 이익 뿐만 아니라 인천항 전체 물류처리가 빨라지는 연쇄 효과가 기대된다.

하역시스템의 기계화 이후 선박 체류시간이 호주(96년)는 100%, 대만(97년)은 14% 단축되는 성과를 거뒀다.
선박 체류시간이 단축된다는 것은 선박 임차비용과 항만시설 사용료가 그에 비례해 절감되는 만큼 선사나 화주에게도 직접적인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화물 유치에 긍정적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는 "상용화로 인천항에 대한 대외 신인도가 향상돼 외국 선사의 기항이 증가하고 투자 유치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