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곡6지구 지구단위 계획구역으로 지정돼 주변을 포함한 51만여㎡의 면적에 4천여세대의 아파트와 단독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보상을 받은 상당수가 떠났지만 130여 임대공장 등 상공업체들은 그대로 남아있다.
재활용, 박스, 코팅, 기계 등 도시에서 밀려난 업종이 대다수인 공장들은 몇몇 업체를 빼곤 대부분 영세하다. 나홀로 사장이나 부부가 함께 운영하는 곳이 50%가까이 된다. 그래도 사장으로 혹은 종업원으로 이 곳에서 터를 잡고 생계를 이어온 김포 주민들은 300여명이 넘는다. 갈곳이 마땅치 않은 60여명의 주거 세입자들도 있다. 자기 땅 한뼘없고 경제적으로도 여유롭지 못한 이들에겐 개발이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다.
살길을 찾기위해 상공세입자 대책위원회(위원장·허인)를 구성했지만 활로 마련이 쉽지만은 않다. 토지공사나 주택공사 등 공기업이 개발하는 신도시의 경우엔 세입자라도 영업과 손실 보상, 이전 비용 등을 지급해 준다. 하지만 도시개발방식으로 진행되는 민간사업지구에선 이런 보상이 쉽지 않다.
허인 위원장은 "수용이 아닌 환지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되면서 세입자들의 권리가 철저하게 외면되고 있다. 아무리 민간개발이라지만 이곳에서 터를 잡고 일을 해온 업체들의 영업 손실이나 시설비용 등은 인정해줘야 하는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시는 현행법상 보상을 강제할 조항이 없다고 설명했다. 김포시의 한 관계자는 "구역지정단계인데다 관련법상 특별한 규정이 없어 힘들다.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되면 중재를 해볼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시행사인 S사의 관계자는 "적절한 방법을 찾아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사업은 이런 속내와 관계없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달 25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분과위원회에서 현장을 답사했다. 이르면 이달중 구역지정이 될것이라는게 주변의 예측이다. 사업 진행엔 가속도가 붙고 있지만 세입자 등 민원에 대한 해결책은 지지부진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