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설적으로 표현하면 그만큼 인천항에는 현안이 산적해 있다는 얘기다.
인천항물류협회 관계자도 "상용화는 인천항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첫걸음이다"고 진단한 뒤 "고비용 저효율을 저비용 고효율로 바꾸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
하역장비의 기계화 및 현대화를 서둘러야 하는 것은 물론 물동량 증가세에 발맞춘 인천신항 등 항만시설의 확충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상용화와 맞물려 북항 개장으로 예상되는 내항 물동량의 북항 이전에 대한 대책마련도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하역업계 스스로가 화물 유치에 적극 나서고 비용절감 등 다양한 경영합리화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게 우선이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상용화에 이어 고비용 구조의 한 축으로 지목받고 있는 인천항부두관리공사의 차질없는 경영혁신 추진도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상용화 협상에 따른 진통 못지않게 부두공사 내부의 반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상용화와 마찬가지로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대화와 양보를 통해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게 항만업계의 의견이다.
인천항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도선 업무도 경쟁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논의해야할 시점이다.
이 문제 역시 극심한 진통이 예상되지만 고비용 구조 해결과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할 과제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의 고비용 구조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결코 평택항 등 다른 항만과의 경쟁에서 앞서갈 수 없다"며 "경쟁을 통한 비용 인하와 서비스 개선 없이는 선사나 화주 유치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세관·출입국·검역 등 이른바 CIQ기관 등 항만관련 지원기관의 서비스 개선 및 향상도 상용화 이후 인천항에 남겨진 숙제다.
최근 광양항에 설립된 마린센터처럼 항만관련 업무를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체제를 구축하지 않고서는 갈수록 높아지는 인천항 이용 고객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항만 업체들 역시 상용화 이후 무한경쟁 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자기 노력이 요구된다"며 "지금까지 정부 부두에서 안주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해왔지만 앞으론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스스로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