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바다포럼이 주최하는 '제2회 바다사랑 정화활동'이 지난 13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

올해로 2회째인 '바다사랑 정화활동'은 심각한 바다쓰레기 문제에 대해 국민과 국회·정부가 공동으로 '바다 정화활동'을 해 나가자는 행사로 범국민적인 바다사랑 실천운동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행사는 해양경찰서가 소재한 전국 13곳 주요 항·포구에서 지역기관과 단체가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해안 쓰레기 수거 활동, 책임 해역을 지정해 해상 부유 쓰레기 수거활동, 수중에 침적된 쓰레기 정화 활동을 각각 펼쳤다.

해양쓰레기는 전국적으로 매년 10만이 발생하고 있고 연근해 해역에 약 40만이 침적되어 있다. 그러나 매년 해양쓰레기 수거율은 70%밖에 미치지못해 상당량이 해저에 누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은 육상에서 유입되는 쓰레기, 선박의 불법 투기, 어민들의 폐어구 불법 투기 그리고 패각의 무단방치 등 다양하다. 특히 육상에서 유입되는 쓰레기가 전체의 8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선박의 불법 투기와 어민들의 폐어구 불법 투기를 들 수 있다. 이렇게 투기되는 폐어구는 연간 6만7천, 어선 생활쓰레기는 연간 1만8천이 발생하고 있다. 주로 로프, 스티로폼, 플라스틱 부자(float : 양식시설에 사용) 등이다. 이들이 분해되는데는 대략 50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돼 해양 환경의 오염원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에서 밀려오는 국가간 이동쓰레기 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우리나라 서·남해안으로 밀려오는 외국산 쓰레기는 12.5%에 달하고 있다. 그중 91.4%가 '중국산 해양쓰레기'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에는 한·중·일·러 4개국이 모인 제1차 북서태평양회의에서 의제로 다루기도 했다. 해양쓰레기는 바다의 오염 뿐만 아니라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해 어족 자원을 고갈시킨다. 또한 폐어망, 로프로 인한 선박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해양경찰청은 이러한 해양쓰레기 문제를 국민과 함께 공동으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바다사랑 정화활동을 연중 벌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소형선박 생활쓰레기 되가져오기 운동, 해양쓰레기 수거활동, 섬 쓰레기 수거활동을 전개해 1천748을 수거했다.

아울러 청소년과 일반 국민들의 해양환경 보호의식 함양과 바다사랑 실천운동 확산을 위한 국민참여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그림그리기 대회, 웹디자인 공모전, 글짓기 공모전, 대한민국 해양사진대전을 실시해 해상에 버려진 쓰레기 회수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해양환경 보전 의식을 높이는데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앞으로도 천연자원의 보고인 바다 환경을 지키고 보전하기 위해 국민과 함께하는 깨끗한 바다 만들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예정이다.

/이완섭(해경 해양오염관리국 감시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