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호군 (인천대학교 총장)
중국을 방문할 때마다 남다른 감회를 느낀다. 수교 전 1990년에 처음 방문하던 때의 어둡고 침울했던 도시의 모습과 자전거의 행렬이 끝없이 이어지는 그 당시의 모습은 어느 덧 추억으로 사라지고 새로운 세상이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이 변화의 이면에는 과학기술이 있었다. 중국은 70년대부터 양탄일성(兩彈一星)과 과교흥국(科敎興國)을 기치로 거대과학과 국방과학에 매진해 왔고, 90년대 들어서는 인재 강국 전략과 과학교육사업의 신속한 발전을 지향하며 과학기술인력 유치를 부단히 추진했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에는 '경제개발은 반드시 과학기술에 의존하며, 과학기술은 반드시 경제개발을 위한다'는 덩샤오핑의 실사구시 정책에 따른 기술의 상업화 정책이 뒷받침되었다.

중국에는 2002년에 이미 과학기술활동에 종사하는 인력이 318만명으로 1995년에 비해 23% 증가하였고, 직접 연구개발에 투입되는 인력은 104만명이며 그중 과학기술자는 81만명이다. 최근 중국이 해외 유학파 고급인재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06년 말 현재 중국의 해외유학생 총 수는 106만7천명이고, 유학 후 귀국한 인원은 총 27만5천명에 달한다. 이 중 2006년도에 귀국한 수만도 4만2천명으로 2005년에 비해 21.3% 증가했다. 최근 우리 과학기술부가 공개한 '해외박사 신고현황'에 따르면 우수 인력 수급에 빨간불이 켜졌다. 해외에서 박사를 취득하고 귀국한 전체 박사 신고자가 2003년 2천165명에서 2006년 1천320명으로 40% 줄었으며, 이공계 박사는 2003년 919명에서 2006년 500명으로 46%나 감소했다. 이공계 박사의 비율이 2003년 42.4%에서 2005년 29.3%, 2006년 27.9%로 낮아져 이공계 박사의 귀국 기피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신성장동력리포트'에 따르면 미국에서 이공계 박사 학위취득 후 현지에 눌러앉은 비율도 1992~1995년 20.2%에서 2000~2003년 46.3%로 급증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도 한국의 '두뇌유출지수'가 2006년 조사대상 61개국 가운데 40위라며 심각성을 지적했다. 미국국립과학재단에 의하면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한국인들 가운데 미국에 계속 남고 싶다는 응답은 1984년 50%에서 73.9%로 크게 늘었다. 또 귀국자 3명 중 1명은 다시 기회가 주어지면 해외로 나가겠다고 응답했다는 보고도 있다.

우리가 한강의 기적을 이룬 것도 우수한 인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1966년 '과학입국'의 기치아래 설립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에 유치된 과학자들에게 국립대 교수의 3배 월급과 아파트를 제공하고 병역 면제 등의 파격적인 지원으로 인재들을 불러 모았었다.

인도공과대학(IIT)은 "모든 교수에게 연간 세계적인 학술지에 2건의 논문을 게재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100개 정도의 신규 과정을 만들고, 기존의 강의도 400여개 정도가 매년 업데이트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열심히 공부하는' 분위기다. 우리는 미국 유명 대학보다 30%는 더 많이 공부한다. 미국 석사과정에서 배우는 것을 학부과정에서 가르치고, 석사 과정에선 미국의 박사과정을 가르친다"는 아난드 총장의 말이 생각난다.

미국 MIT의 교수가 인도인 유학생에게 '당신 나라엔 IIT가 있는데 왜 여기로 유학 왔나'고 물었더니, 'IIT에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는 유명한 일화는 IIT의 우수성을 짐작케 한다.

지금은 인재확보전쟁 시대이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수한 인재의 양성과 유치이다. 중국과 인도의 대학교육을 거울삼아 우리의 대학교육을 다시 한 번 재조명해 볼 때이다. 얼마 전 중국 방문시에 만난 우리 학생들의 말이 아직도 귀에 쟁쟁하다. "총장님, 중국 학생들은 불철주야 공부밖에 모르고 진짜 열심히 해요. 저희들은 못했지만 후배들은 많이많이 가르쳐주세요. 네!" 유능한 인재만이 우리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 사람이 경쟁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