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권(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북부지부장)
우리경제는 2000년 이후 고용·생산·부가가치 등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증대되어 산업의 축이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통계청자료를 보면 현재 중소기업 수는 300만개로 전체사업체 수의 99.8%를 차지하고 있고, 고용역시 전체 고용의 88.1%나 차지하고 있다.

대기업과 비교한 중소기업의 생산액과 부가가치 등 경제발전 기여율을 살펴봐도, 1960년대에는 그 비중이 전체 중 26%에 불과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대기업을 추월하여 이제는 54%를 차지하게 되었다.

특히 인력고용 측면에서는 IMF 이후 대기업 근로자 수는 139만명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의 근로자 수는 251만명 증가를 나타내고 있어 고용창출을 통해 외환위기 극복에도 큰 몫을 담당했다.

이렇듯 산업의 축이 된 오늘의 중소기업 위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각고의 노력을 한 수많은 CEO와 근로자가 있었기에 가능하였겠지만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중 하나인 정책자금도 중소기업 성장에 일조를 했다고 본다.

정책자금을 활용하는 업체들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의 지렛대의 효과(Leverage effect)처럼 정책자금을 지렛대로 기업경쟁력을 끌어올려 전체 중소기업의 성장과 국가경제 활성화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소기업학회에서 조사한 '중기업진흥공단 사업별 성과분석'을 보면 알 수 있다.

자금지원 사업의 경우 2004년 정책자금 지원 업체의 다음연도(2005년) 평균 매출증가율은 13.5%로 전체 중소기업 평균 매출증가율인 5.9%보다 2.3배 높으며, 수출증가율도 평균보다 1.8배 높은 1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자금은 이렇듯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어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단순요소 투입과 보호육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부가가치가 높고 성장잠재력이 큰 혁신형기업에 집중지원하고 다양한 수요자에 특성별 맞춤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자금지원 역시 금융시장이 작동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은행을 통한 대리대출보다는 신용 및 직접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급속한 글로벌화와 후발국과의 경쟁가속화 등으로 끊임없이 변해야 생존하는 시대가 되면서 중소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구체적 전략을 제시하는 사업도 강구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작년 9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사업전환 지원사업'은 한-미 FTA 체결 등 엄청난 시장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한계기업의 사업전환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업종으로 발 빠르게 전환을 유도하는 사업이다.

특히 경기북부지역은 우리나라 중소제조기업의 약 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생산액 및 부가가치 수준은 전국의 약 2%에 불과한 실정이고, 더욱이 고부가가치로 구조조정이 요구되는 섬유, 피혁, 가구 등의 전통산업이 51.3%를 차지하는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관내기업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지원시책이다.

아울러, 올해 4월부터는 '무역조정 지원사업'을 추진함으로써 FTA 체결 상대국과 국제거래 과정에서 예상되는 무역피해기업(매출액 25% 이상 감소 피해 기업)에 정책자금 지원, 경영·기술 컨설팅 등을 제공하고 종합진단을 통해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이렇듯 중소기업 정책자금은 환경변화와 기업의 수요에 맞춰 컨설팅, 기업진단 등과 연계되어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원책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우리 경제의 중심축이자 견인차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 성공 지원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무쪼록, 어려운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는 많은 중소기업이 적극적인 정책자금 활용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글로벌기업으로 성공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