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는 부천시가 정작 청소대행업체 선정은 비용절감을 위한 경쟁입찰을 외면한 채 특정업체만 배를 불릴 수 있는 수의계약 방식을 고집하고 있어 제도개선이 시급하다.

13일 부천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시는 청소업무의 특수성을 내세워 시내 전체 37개동을 회사 규모에 따라 6개업체에게 폐기물, 재활용품, 음식물 쓰레기 등을 수거하는 총액도급대행 방식으로 2년 단위의 수의계약을 맺고 있다.

이에따라 규모가 가장 큰 원미환경은 17개동에 대한 청소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강서실업, 경남기업, 도시환경, 동운환경, 성광용역 등 5개사는 균등하게 각각 4개동을 담당구역으로 하고 있다.

시는 이들 6개 업체에 올해 182억원을 쓰레기 수거 위탁처리 수수료로 지급했으며 이중 인건비로 지난 10월까지 6개 업체에서 695명에게 수수료의 절반인 93억원을 급여로 지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로인해 청소업체 근로자의 월평균 급료는 도시가계소득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130만원 안팎의 저임금에 허덕이고 있다.

하지만 부천시와는 달리 광주시 등은 투명성과 공정성, 비용절감 차원에서 청소대행 업체 선정을 지역업체로 한정하는 제한경쟁입찰을 실시, 예산절감은 물론 청소행정의 효율성을 높여 나가고 있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공개 경쟁입찰로 담당업체가 바뀌게 되면 기존 업체의 인력과 장비처리문제, 신규업체의 청소구간에 대한 무지 등으로 청소체계에 대한 혼란이 예상된다"며 "일정기간동안 쓰레기 수거를 지연해 시민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어 불가피하게 수의계약을 추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부천시는 수천만원을 들여 청소대행업체에 대한 성실이행평가를 실시하고도 구역조정 및 대행비 감액 등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적용하지 않는 등 이를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아 특정업체 봐주기와 예산만 낭비했다(경인일보 12월13일자 17면 보도)는 지적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