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화성 출신 인재육성 지원을 위해 출범한 화성시 인재육성재단이 소극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 추진으로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화성시는 지난해 11월부터 모두 20억원의 출연금과 6억원의 기금 등을 출연해 인재육성재단(이사장·김남회)을 설립·운영 중이다. 출범 1년이 지난 현재 후원회원에 가입하고 후원금을 낸 기업인과 공무원, 지역민만 무려 311명, 4억7천546만원에 달할 정도로, 지역인재 육성 취지에 공감하는 시민들의 기대와 열정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개인자격으로 동참한 시민이 절반이 넘는194명이다.

하지만 정작 화성산림조합장 출신인 김 이사장의 후원내역은 단 한 푼도 없어 '풀뿌리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시민들의 적극적 행보와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더구나 한규석 상임이사 등 재단 직원 6명조차 모두 십시일반 후원에 참여한 형편이어서 일각에서는 사퇴 요구까지 나오는 등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특히 재단은 운영비 부족으로 시로부터 추경예산까지 타 쓰는 형편인 것으로 나타나 김 이사장의 행태는 더욱 논란을 빚고 있다. 올해 재단 운영비는 모두 7천만원으로, 이 중 1천만원은 지난 4월 인건비와 홍보책자·후원신청서 제작 명목하에 추경예산으로 편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재단이 서울시 관악구에 운영 중인 서울지역 대학생용 기숙사 '화성시 장학관' 사업도 비판을 받고 있다.

모두 49억5천만원의 예산과 5천만원의 운영비를 투입, 지난 2월 개관한 이 장학관은 서울대 4명 등 화성 출신 대학생 81명이 기숙사 형태로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 이외, 특히 경기지역 대학에 다니는 화성 출신 대학생들로부터 역차별 논란을 빚고 있는데다 일부 특정 학생의 교육에 거액의 시 예산을 들일 필요가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것.

더구나 이 장학관은 원래 침술원으로 쓰이던 건물로, 학교·공장 외엔 기숙사를 지을 수 없다는 서울시 방침에 따라 교육·연구시설로 분류, 편법 시비까지 일고 있는 형편이다.

한 대학생의 학부모는 "지역을 생각해 지역대학에 보낸 사람이 오히려 대접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더구나 서울 학생들이 졸업 후 화성에 돌아오고 지역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보장도 없는데, 단지 서울 학교에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혜택을 준다는 게 말이 되냐"고 힐난했다.

이에 대해 재단과 시 관계자는 "아직 밝힐 단계는 아니지만 이사장께서 깜짝 놀랄 만한 후원 이벤트를 준비 중이며, 장학관 학생들에겐 방학 때마다 화성 투어를 실시하는 등 지역 정신 심어주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