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당 대선 후보들은 접경지역인 경기 북부에 남북경협특구나 클러스터 등 경제평화벨트 구축를 위해 군사시설보호구역 등 각종 중복 규제를 선별적 혹은 부분적 해제하기 위해 기존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모두 첫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중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은 각종 규제로 불이익을 겪어왔던 접경지역 및 경기북부지역에 SOC나 섬유가구 산업 특화 등 지원책과 미군반환 공여구역 개발을 위한 규제완화 등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또 각당은 도내 교통정체 타개를 위한 수도권 광역교통망 관리 전담부서 설치나 제2 외곽순환도로, KTX 화성역사 신설 등 교통정책도 봇물처럼 쏟아냈다.
도내 곳곳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정비사업 지원과 수원 화성 복원 등에 한 목소리를 담고 있고, 신당의 수원비행장을 시화간척지로 이전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하지만 도가 추진하고 있는 황해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해 신당과 한나라당 등이 평택, 화성 등을 중심으로 물류거점지역으로 육성하는데 적극 찬성하고 있는 반면 민주노동당은 미국 경제의 불황조짐과 경제특구가 가져올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우려해 전면 폐기를 촉구, 대조적이다.
교육정책도 신당이 도립대학 신설이나 과밀학급 해소 등을 주장한 반면 민노당은 용인 등 도내 비평준화지역의 평준화 변경을 내거는 등 당 이념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각 당이 경기 표심을 잡기 위해 내 놓은 필승 공약들은 정책이나 추진 방법 등을 둘러싼 뚜렷한 이념 차를 엿볼 수 없을 정도로 주제별로 비슷한 입장이어서 차별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신당은 기존 지역 국회의원들이 민원해결을 위해 추진해 왔던 현안정책을 재포장했고, 한나라당은 현 도지사 등 지자체장의 주요 행정정책과 유사한 공약을 그대로 선보인 흔적이 역력했다.
또 정책정당을 표방한 민노당도 경기도 관련 정책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는 등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로잡기엔 부족함이 많다는 지적이다.
아주대학교 행정학과 김서용 교수는 "올 대선도 각 정당이 내 건 주요 정책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지 않은 인기투표식 선거로 치러지면서 사실상 '정책'이 실종됐다"며 "유권자들이 좀더 면밀하게 각 후보의 공약을 살펴본 뒤 누구에게 투표할 지를 결정하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