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인규(경기도 제2청 교통과장)
최근 수많은 사회문제 가운데 최우선 과제로 손꼽히는 것 중의 하나가 교통문제다.

특히 교통혼잡은 통행시간의 증가, 연료의 낭비라는 개인적 불이익과 환경오염, 교통사고 증대, 물류비용의 증가 등 외부불경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서 천문학적 숫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경기도의 경우에도 2005년에만 5조857억원 상당의 교통혼잡비용이 발생하여 전년도 대비 10.8%의 높은 증가를 보이고 있다.(참고 : 2005년 기준 전국 23조6천978억원, 서울 6조190억원)

교통혼잡 발생원인은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교통량이라고 하는 '수요'와 도로시설 등의 '공급'간의 불균형에서 기인한다. 특히 경기북부지역은 급속한 성장과 대규모 택지개발 등으로 인해 2001년 244만명이었던 인구가 2006년말 284만명으로 증가하고, 자동차 등록대수가 2001년 55만대에서 2006년 91만대로 65.5%가 늘어나는 등 인구유입과 도시화가 가속되고 있다. 2005년부터 주5일 근무제 실시로 도내 주말 여가통행이 증가하는 등 교통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반하여 지방재원 부족으로 교통인프라 확충사업은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사업기간의 과다소요 등으로 급증하는 교통수요를 따라잡지 못하여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질적인 교통혼잡 문제의 해결방법은 도로, 철도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하여 교통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공급을 늘리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다. 하지만 교통인프라 확충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된다. 도심지를 기준으로 도로 1㎞ 건설비용이 보상비를 포함하여 1천억~1천100억원임을 고려하면 경기도의 도로건설 한해 예산 9천억원을 전부 투자하더라도 8㎞ 정도를 넘지 못할 정도다. 이러한 공급의 한계는 자동차 위주에서 사람 위주로, 승용차 위주에서 대중교통 위주로, 도로의 공급 위주에서 관리·운영 위주로의 정책전환을 요구한다. 저투자의 서비스를 지향하는 '교통체계관리기법'은 기하구조나 신호운영 등을 개선하여 교차로나 가로구간의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법과 버스전용차로제 도입이나 대중교통요금체계를 정비하여 대중교통 활성화를 꾀하는 방법 등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기존 인프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측면의 접근을 통한 저비용으로 고효율을 창출하는 교통운영 관리기법인 것이다.

경기도 제2청 교통과에서는 신호시스템 및 도로기하구조 개선으로 기존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도입 확대 등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개편으로 교통문제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 북부지역 365개소의 교통혼잡지점에 교통체계개선사업을 시행키로 하고, 우선 401억원의 예산을 들여 8개 시·군 194개 지점에 대해 기하구조 및 신호운영 개선사업 등을 진행 중이다. 내년도에는 288억원의 예산으로 6개 시·군 171개 지점에 대한 사업을 시행하여 2009년말 사업 완료되는 시점에는 평균 통행속도를 30%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경기도는 교통혼잡 개선을 위해 적은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를 끌어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해 지난 7월부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고양축 BRT 개통에 이어 국도3호선(대체우회도로), 국도6호선(구리~남양주축) 등에 BRT를 추진할 계획이어서 자가차량 통행량을 대중교통으로 대체토록 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정책은 곧 최소한의 여건조성이다. 자가차량 교통수요가 대중교통 위주로 대체되도록 도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뒤따를 때 교통문제에 있어서만큼은 최소한의 여건에서 최대의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