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원관(임진강건설단 공사팀장)
여름철 장마가 다 끝나갈 즈음인 지난 8월 중순 북한지역에는 6일 동안의 집중호우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당시 북한 언론이나 북한 당국이 밝힌 수해 정도를 보면 지난 8월 18일 현재 303명 사망·실종, 이재민 8만8천여가구 30여만명, 전체 농경지 11% 이상 침수 등의 피해로 정리되지만 최종 집계된 것이 아니라니 피해규모는 이보다 더 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탄강의 발원지인 북한의 평강지역에는 662㎜의 폭우가 내렸으며, 임진강 본류의 필승교 부근에서는 나흘간 8구의 북한 주민 시신이 인양되기도 하였다.

10여년 전인 1996, 1998, 1999년에는 임진강 유역의 남한측 피해가 막대하였다. 당시 보도를 보면 국지성 호우로 인하여 문산읍을 포함, 파주시 전지역이 물에 잠겼으며 사망 128명에 재산피해가 9천억원에 이르렀다.

여름 장마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던 한반도의 강우패턴은 2002년 태풍 루사때 강릉에 내린 폭우처럼 1년 강수량의 70%(연 강수량 1천283㎜중 877㎜)가 하루에 내릴 정도로 지구온난화에 의하여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는 기상이변을 초래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평균기온이 올라간다는 개념을 뛰어넘어 계절 자체가 변해 버린다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대기 흐름이 달라지고, 강수 패턴이 바뀌어 건조지대가 늘어나고 극단적인 집중호우의 가능성이 높아져 자연계의 질서가 파괴되면 인간의 생존 자체가 위협을 받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임진강 유역의 만성적인 홍수피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정부는 지난 2월 28일 한탄강홍수조절댐의 실시계획을 고시하고 공사를 착수하였다.

한탄강댐 건설계획이 발표된 것이 1999년이었으니 약 8년만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 된다.

그동안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학회 등 관계 전문가, 지역주민, 시민단체들의 수많은 찬반논쟁으로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여 안타까운 마음이 들지만, 이제는 공사에 박차를 가하여 하루라도 빨리 홍수로부터 국민의 소중한 인명과 재산을 지켜야 한다는 일념뿐이다.

한탄강댐은 다른 댐과 차별화해 수몰지의 넓은 홍수터를 활용하는 방안과 주민의 생계와 이주대책 등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적극적으로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친환경댐 건설에 역점을 두고 있다.

최근 한탄강홍수조절댐의 시급성을 부정하는 환경논리가 또 다시 대두되고 있음은 심히 우려할 사항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은 파주, 문산지역의 수해 방지를 위해서는 한강 하구 준설이 더욱 타당하다고 하지만 서해 바다의 만조시 상류지역의 집중호우로 발생한 물을 가두어 두지 못한채 홍수가 하류지역으로 유입된다면 하구 준설을 아무리 한들 근원적인 수방 대책이 될 수가 없다.

일방적인 환경보호 논리에 밀린 국책사업의 지연에 따른 국가적 손실은 사패산터널 공사의 경우 2년이나 개통이 지연되어 그 경제적 손실이 5천853억원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다고 한다.

홍수를 막기 위한 댐의 건설이 늦추어지고 국가 치수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할 때에는 귀중한 인명을 하루 아침에 잃어 버리는 우를 범하게 된다.

오랜 기간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사전 합의과정을 거쳐 결정된 한탄강홍수조절댐은 "장화는 맑은 날에 사두어야 한다"는 격언처럼 유비무환 대책이라고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한탄강홍수조절댐은 지난달 29일 공사용 도로의 개설과 댐이 들어설 고문리 지역에 대한 보상이 거의 마무리되고 있어 임진강유역의 항구적인 치수대책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