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16호인 '창영초등학교 구교사'의 관리를 맡고 있는 창영초교 직원들이 복도에 놓인 소화기를 점검하고 있다. /임열수기자·pplys@kyeongin.com
인천의 문화재가 관리·보존 측면에서 심각한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거나 무관심 속에 방치돼 있는 문화재가 많은 상황이지만 몇몇 문화재는 제대로 된 관리를 받고 있는 것이다. 이는 관리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극명히 드러난다.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기관에서 관리하는 문화재는 부실하기 짝이 없고, 의욕있는 기관이 맡고 있는 문화재는 제대로 대접을 받고 있다.

이는 문화재 관리·보존과 관련한 인천시 차원의 전문기구나 제대로 된 정책이 없기 때문이다.

국방부가 소유자로 돼 있고, 남구청이 관리 주체인 시지정 기념물 1호인 문학산성은 등산객조차 그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알려져 있지 않다. 산성의 성체는 우거진 수풀 속에 가려 있고, 성곽이 허는 등 시간이 지나면서 차츰 폐허로 변하고 있다. 인천시가 왜 이 문학산성을 '기념물 1호'로 지정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방치돼 있는 것이다.

문학산성과 같은 경우에 처한 문화재는 상당히 많다.

이에 비하면 시지정 유형문화재 16호인 인천창영초등학교 (구)교사는 호강스런 상황이다.

누전 등에 의한 화재를 막고자 전기설비는 모두 차단돼 있다. 실내엔 소화기 21개가 비치돼 있고, 옥외소화전 2개도 마련돼 있다.

이런 외형적 부분만이 아니다. 관리를 맡고 있는 창영초교 측은 인천학교안전공제회와 소방관련 계약까지 맺었다. 공제회에선 매월 1회씩 안전점검을 나와 부족한 점을 개선한다.

또 유형문화재 51호인 내동성공회 성당은 화재감지기도 있고, 내부 목재엔 방염처리까지 돼 있다.

이처럼 행정기관이 맡은 문화재가 문제가 되는 것은 전문성과 예산·인력 부족 때문이란 게 일반적 평가다.

인천시에 문화재 팀이 구성돼 있기는 하지만 담당자는 1명뿐이다.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 정책을 내놓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인 것이다. 또 인천지역 문화재 정책과 가장 근접해 있다고 할 수 있는 기관인 시립박물관에도 문화재 관리와 보존을 맡을 기구가 없다.

소화기가 있느냐 없느냐는 문제를 따지는 겉치레에 신경을 쓰기보다는 행정기관의 문화재 관련 전문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따라서 인천 전역의 문화재를 맡아 관리하고 보존할 전문기구 설립이나 시립박물관 등의 기관에 전담 팀을 두는 등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