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8대 총선도 갖가지 특징과 기이한 모습을 예외 없이 보여주고 있다. 첫째, 주요정당은 외부인사를 반 이상 참여시킨 공천심사위를 구성하고 엄정하고 공정한 공천을 다짐했다.
하지만 상당부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러 군데를 편의, 예외, 날림, 부실 공천을 단행해 공천 파동의 후유증이 선거기간 내내 지속되었다.
둘째, 여러 군데 인위적 산술적인 교체공천으로 거센 반발과 함께 무소속 출마자들을 양산했다. 새 정치를 위한 물갈이, 대대적인 인적 쇄신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인물을 교체할 때는 낙천과 공천의 타당한 이유와 명분을 밝히는 게 유권자에 대한 예의요 책임이다.
셋째, 공천에 당력과 시간을 쏟다 보니 정책경쟁은 실종되고 말았다. 경제회생과 민생안정 등에 대안을 냈어야 했다.
넷째, 기이한 출마의 변과 선거운동이 눈길을 끌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는 엄연히 한나라당의 비주류의 수장인데 낙천자 및 반 이명박계 인사들이 친박연대와 무소속연대라는 이름으로 출마해 박근혜와의 인연, 박근혜 마케팅에 목을 매다시피 하고 있는 것, 또 "당선되면 당을 개혁하겠다", "박근혜를 차기 대통령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하는 것도 이색적이다.
다섯째, 흘러간 큰 별들인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등 3김이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의 공천이 잘못됐다고 화를 낸 것이다. 그들이 독단적, 제왕적 공천을 단행했던 지난 일들이 새삼 떠오른다.
주요정당들은 이번 총선 결과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 국정운영의 안정론을 내세우는 한나라당으로서는 최소한 새 국회의 재적 299명의 과반수를 상회하는 155~160석의 확보가 절체절명의 숙제다. 물론 180~190석을 얻는다면 대선에 이은 제2의 압승이 된다.
과반수를 얻어야만 이명박 대통령이 내건 공약을 추진할 수 있다. 만일 여소야대의 상황이 될 경우 새 정부는 정치적 고난과 함께 엄청난 대가를 지불해야 하고 당은 인책론으로 큰 내분에 휩싸이게 된다. 그렇게 되면 한나라당은 정국의 안정과 주도권 장악을 위해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친박연대 선진당들과 제휴 또는 합당 추진이 불가피하다. 당연히 새 지도부를 뽑는 7월 전당대회는 격전장이 될게 분명하다.
한편 민주당이 이명박 정부를 효과적으로 견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0석 이상을 얻어야 한다. 물론 120~130석이 된다면 거대야당으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70~80석만을 얻게될 경우 책임론과 함께 새 지도부의 구성을 놓고 당권투쟁이 재연될 전망이다.
또한 손학규 대표를 비롯 정동영, 김근태 전의장 등은 총선서의 당락에 따라 당내 입지가 달라지게 될 것이다. 특히나 민주당이 크게 기대하는 호남지역에서 무소속후보들에게 뜻밖에 여러 개 구에서 실패할 경우 공천 때 불이익을 주장했던 민주계는 분당론을 꺼낼 소지가 많다.
이밖에 선진당, 창조한국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은 당선자의 수에 따라 장차 당의 존립과 타 정당과의 합당, 재편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다.
이제 투표일은 9일 남았다. 안정론과 견제론 가운데 어느 쪽이 나라발전과 국민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냐 하는 판단은 국민의 몫이다.
명심할 것은 잘못 투표하고 두고두고 4년을 후회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