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경쟁을 뚫고 경기도내에 제18대 국회의원 당선자 51명이 결정됐다. 경인일보는 1천100만 도민을 대신해 당선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11일부터 1주일간 지역현안과 정치, 경제, 남북문제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4차례에 걸쳐 이들의 속내를 살펴본다. <편집자주>

30년 넘게 경기도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수도권 규제'라는 사슬에 균열 조짐이 보이고 있다.

국토해양부가 3대 권역으로 나눠 수도권을 옭아매온 규제 위주의 수도권 정책을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경기도에서 당선된 예비 국회의원들도 정부와 그 '궤'를 같이 하거나 한 걸음 더 앞서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3면>

당선자 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응답자 전원인 46명(답변 거부 5명)이 수도권 규제 해소 쪽으로 기울었다.

'현재의 수도권 규제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란 질문에 박기춘(민·남양주 을), 차명진(한·부천 소사) 당선자를 비롯한 6명은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래픽 참조>

심재철(한·안양 동안을) 당선자 등 30명은 '대폭 수정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원혜영(민·부천 오정) 당선자 등 10명은 '일부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수도권 규제 해소에 대한 당선자들의 견해는 '경기도 경제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을 묻는 질문에서도 그대로 확인됐다.

설문에 응답한 46명 중 83%인 38명의 당선자들이 '규제해소를 통한 첨단산업 유치'가 경기도의 살 길이라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서해안 개발'은 이화수(한·안산 상록갑) 당선자 등 5명에 그쳤고, '남북경제협력 강화'도 최재성(민·남양주 갑) 당선자 등 2명에 불과했다.

'한반도 대운하'를 선택한 당선자들은 단 한 명도 없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설문에 응한 당선자들은 한미FTA 등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대외 개방적인 무역정책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 찬성(11명)'과 '대체로 찬성'(31명)을 합친 '찬성'이 89%나 돼 '대체로 반대'(3명)와 '모르겠다'(1명)를 압도했다.

'지방자치강화를 위한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예산 및 인사권 확대'(15명)와 '중앙정부의 기능 이관'(15명)이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