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를 떠나 18대 국회의원 당선자들이 '수도권 규제 해소'의 손을 들어줬다는 점은 수도권 정책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경인일보가 경기지역 국회의원 당선자 51명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문항 15개 중 소위 '몰표'가 나온 것은 수도권 규제 해소에 대한 입장을 묻는 이 문항이 유일하다. 특히 설문에 응답한 46명의 당선자들 중에는 '국가균형발전'을 내세운 지난 정권때 여당에 속했던 의원들도 다수 포함돼 있다.

수도권 규제 해소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국가 경제를 위해 필요하다는 논리가 대세라는 게 증명되는 순간이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예전 국회의원 설문조사때와는 다른 또 하나의 특징이 감지되고 있다.

의정활동을 두고봐야 알겠지만 일단 조사 결과만으로는 자신이 속한 정당의 정책쪽으로 일방적으로 기우는 '무조건 줄서기' 양상은 눈에 띄게 준 것으로 파악된다.

지방자치 강화 방안을 묻는 질문의 보기 4개 가운데 정당에 따라 몰표가 나온 응답은 한 개도 없었다. '예산 및 인사권 강화'(한나라당 13명·통합민주당 2명), '지방세 비중 확대'(한 8명·민 3명), '중앙정부의 기능 이관'(한 5·민 9·무 1), '지방의회 권한 확대'(한 1·민 1·친박연대 1)' 등에 응답이 적절히 배분된 것이다.

자유무역협정(FTA) 등 대외 개방적인 무역 정책에 대한 입장과 경기도 경제발전을 위해 시급한 사안을 묻는 질문에서도 정당별로 응답이 모아지지 않았다.

대외개방적 무역정책에 '대체로 반대' 의견을 밝힌 당선자 3명중에서도 통합민주당이 2명이고, 한나라당이 1명이라 '완전한 대립각'은 형성되지 않았다.

특히 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경기도 경제발전을 위해 시급한 사안으로 선택한 당선자들이 단 한 명도 없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논란은 계속되고 있지만 현 정부의 최대 공약사업인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 한나라당 소속 경기지역 당선자들마저도 회의적이라는 게 나타났고, 동시에 당선자들이 중앙의 정책에 매몰되지 않고 있다는 것도 확인됐다.

한편, 4선의 안상수(한·의왕과천) 당선자를 비롯 3선의 정병국(한·양평가평), 재선의 신상진(한·성남 중원), 임해규(한·부천 원미갑), 이사철(한·부천 원미을) 당선자 등 5명은 설문조사 응답을 거부했다. '시간이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