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론이 본인의 소신이나 지역구 주민 뜻과 일치하지 않을 때 '무조건 당론에 따르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 지역 대표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고심하는 흔적도 엿보이고 있다.
경인일보가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경기지역 국회의원 당선자 56명에게 분도론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 응답자 46명(5명 답변 거부) 중 67%인 31명(적극 반대 11명·대체로 반대 20명)이 '반대' 의사를 밝혔다.
분도론에 '적극 찬성'이라고 답한 당선자는 문희상(민·의정부 갑), 김성수(한·양주동두천), 박기춘(민·남양주 을) 등 3명이었고, '대체로 찬성'이라고 밝힌 당선자는 주광덕(한·구리) 등 9명으로 전체적으로 '찬성' 입장인 당선자는 12명에 그쳤다.
분도론에 대한 당선자들의 의견은 정당별로 갈라지지 않았지만 지역구가 한강 이남이냐, 이북이냐에 따라서는 다소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찬성'이라고 밝힌 12명 가운데 경기북부 10개 시·군을 지역구로 가진 당선자는 7명으로, 여전히 분도론은 경기남부보다는 북부에 지지 기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경기도 시·군을 통폐합해 광역화하는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적극 찬성'과 '대체로 찬성'을 합친 '찬성'이 22명, '대체로 반대'가 21명으로 찬반이 팽팽히 맞섰다.
당론이 본인의 소신이나 주민 뜻과 다를 때를 묻는 질문에는 설문조사에 응한 46명의 당선자 중 72%(33명)가 '사안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를 선택했다.
'소신이나 주민 뜻에 따르겠다'는 당선자는 11명, '당론에 따르겠다'고 답한 당선자는 김진표(민·수원 영통)와 원혜영(민·부천 오정) 등 2명이었다.
이번 조사가 심층면접 조사가 아닌 서면 조사라 이 질문에 대한 응답에는 해석의 여지가 있다. '사안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겠다'는 것이 고민을 거친 정치적으로 무난한 답변일 수도 있고, '당론에 따르겠다'는 응답이 오히려 '소신'으로 비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당선자들은 지방의원(도의원 및 시·군의원)들의 의정비 문제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여론보다 훨씬 호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응답한 당선자 가운데 61%(28명)가 지방의원들의 의정비에 대해 '적절하다'고 밝혔고, '적다'(너무 적다 1명·대체로 적다 5명)고 답한 당선자도 6명이나 됐다.
'대체로 많다'고 답한 당선자는 10명이었고, '너무 많다'는 응답은 이범관(한·이천여주) 당선자가 유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