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지역 국회의원 당선자들은 이런 차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보다는 비교적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인일보가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경기지역 국회의원 당선자 51명에게 던진 "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햇볕정책'과 이명박 정부의 '실용주의 대북정책' 가운데 어느 쪽을 더 신뢰하는가' "란 질문에 응답자 46명(5명 답변 거부) 중 65%인 30명이 실용주의 대북정책을 선택했다.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은 정당별로 확연히 갈렸다. 실용주의 대북정책이라고 답한 29명 중에서는 여당인 한나라당 소속 당선자가 무려 27명이었고, 나머지 두 명 중 한 명은 한선교(무·용인 수지) 당선자였다. 통합민주당에서는 박기춘(남양주을) 당선자만이 햇볕정책이 아닌 실용주의 대북정책을 택했다.
반대로 햇볕정책을 지지한 16명은 모두 통합민주당 소속 당선자였다. 실용주의 대북정책에 대한 당선자들의 신뢰는 '앞으로 남북관계가 호전될 것'이란 낙관적인 응답으로 이어졌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46명 중 21명이 '호전될 것'(매우 호전+대체로 호전)이라고 답해 '악화될 것'(매우 악화+대체로 악화)이라고 예상한 15명을 앞섰다.
이 질문에 '매우 악화될 것'이라고 답한 당선자는 문학진(민·하남) 당선자 뿐이었고, '매우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도 원유철(한·평택갑) 당선자가 유일했다.
전체 설문조사 문항 15개 중 다른 질문에는 강한 소신을 밝혔던 당선자들이 유독 남북관계에 대한 전망에서만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당선자들 역시 앞으로의 남북관계에 대해 섣불리 확신하지 못한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한편, 당선자들은 타 시·도보다 대북사업에 적극적인 경기도가 북한과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부분 '경제협력'과 '민간교류 확대'를 꼽았다.
천정배(민·안산 단원갑), 김성회(한·화성갑) 당선자를 비롯해 가장 많은 24명이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한 경제협력 강화'라고 밝혔고 김학용(한·안성), 이석현(민·안양 동안) 당선자 등 16명이 '민간차원의 교류확대'를 선택했다.
김태원(한·고양 덕양을) 당선자 등 5명은 '독자적인 대북협력 시스템 구축'이라고 답했고, 김부겸(민·군포) 당선자는 경제협력과 민간교류 둘을 선택했다.
'개성관광 등 관광교류 활성화'라고 답한 당선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