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순목 (인천광역시 서구의원)
경인운하 건설을 곧 재개할 것이라는 뉴스로 인해 경인운하를 둘러싼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정권 초기부터 경인운하의 건설을 단순히 경인운하 자체로 보기보다는 현정부의 대운하 건설의 시작으로 보는 일부의 시각으로 인해 추진측으로서는 경인운하의 건설을 부담스러워 했던 것이 사실이다. 다소 늦게나마 경인운하 건설을 추진하기로 한 현 행정부의 결단을 환영한다.

경인운하를 다시 하기로 한 이상 추진 주체 측이나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이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다.

첫째, 경인운하를 토목사업 차원이 아닌 콘텐츠 사업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물길을 만들어서 물류를 해결하겠다고 하는 것은 이미 오래 전 얘기가 되었다. 경인운하 건설을 통한 물류 혁신에 대해서는 전문가 간에 이견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사업초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할지 모르나 이미 많은 시간이 흘렀고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신공항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제1·2외곽순환도로, 청라지구, 검단신도시 등 경인운하 주변 환경도 많이 달라졌다. 단순히 오랜 기간 동안 지체되어 왔던 국가사업을 빨리 마무리한다는 성급한 생각 보다는 주변환경 변화에 맞추어 어떠한 콘텐츠로 채울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수준급의 국제공항을 인근에 갖고 있으면서도 인천광역시는 관광 면에서 취약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청라 경제자유구역, 검단신도시 등의 신흥도시와 역사가 숨쉬는 강화도 그리고 이를 연결해 주는 인천국제공항과 고속도로 철도 등을 최대한 이용한 관광벨트를 만들어 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로 경인운하로 인해 나뉘어지는 지역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도로와 철도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경인운하로 인한 지역상권의 분리와 지역경제 침체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봉수대길은 경인운하가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가운데 왕복 2차로의 임시도로로 운영되고 있으며 서곶로를 지나는 지역민들은 언제까지 제대로 정비된 길을 이용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경인운하가 확정되는 순간 도로 등 도시인프라도 신속히 확정함으로써 지역민의 불편을 최소화 해야 한다. 특히 도시철도 2호선의 경우 국비지원규모의 축소로 인해 경인운하 관통지역에 대해 2018년 개통으로 계획이 변경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경인운하 건설이라는 변수가 대두 된 만큼 주민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라도 반대급부 차원에서 2014년까지 우선 개통될 수 있도록 계획 변경이 요구된다.

세번째로 경인운하를 누가 건설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경인운하를 토목공사 차원에서 추진한다면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여 추진할 수 있겠으나 경인운하에 문화 콘텐츠를 도입하고 인천공항과 연계한 관광벨트를 조성하는 차원에서 추진한다면 민간부문의 과감한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서 민간이 갖고 있는 창조성과 아이디어를 수혈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지역의 여건을 고려한 구상이 필요하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의견도 반영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의 주민 등 민간부문 그리고 중앙정부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경인운하가 될 수 있다.

경인운하를 두고 무조건 추진되어야 한다거나 무조건 안 된다는 식의 주장은 지양되어야 한다. 지루하리 만큼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온 논쟁의 종지부를 찍고, 지역과 주민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것이 최선인가가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경인운하 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논쟁보다는 '경인운하 무엇으로 어떻게 채울 것인가'를 논해야 할 것이다. 경인운하에 문화콘텐츠가 도입될 수 있다면 경인운하 사업지연이 오히려 경인운하를 주변환경 변화에 맞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새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콘셉트의 경인운하의 출현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