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권형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
인천은 전통적으로 공업도시라는 인식이 강하다. 지난 60년대 이후 강력하게 추진되었던 수출공업화정책의 성과다. 이때부터 인천에는 부품소재의 가공이나 조립업종이 번창했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산업정책이 해체되고 90년대말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제조업의 성장동력은 많이 약화됐다. 경제기여도도 낮아지고 고용흡수력도 감소됐다. 그 대신 서비스산업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생산비중이나 고용규모가 제조업의 두배 내외에 이른다.

이러한 '경제의 서비스화' 현상은 인천 경제만의 독특한 모습은 아니다. 서울을 비롯해 전세계 선진 도시들의 경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제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해 연구개발, 광고, 디자인, 마케팅, 컨설팅 등에 대한 아웃소싱전략이 확대되면서 이러한 기능을 특화한 지식서비스 업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고, 고령 인구, 여성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면서 교육, 의료, 보건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사회서비스 업종이 대폭 늘었다.

다시 말하면 서비스산업은 시민들이 보다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리고 기업들이 보다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만드는 전략적 기반산업인 셈이다. 특히 지식기반 서비스업의 경우 고부가가치의 생산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제조업의 '고용없는 성장'에 대한 정책 대안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장기 불황을 극복하는 데 서비스산업의 비효율성이 장애요인이 되었다는 반성이 일기도 했다.

그러나 인천 서비스산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사정이 좀 다르다. 선진적인 서비스산업 발전유형과는 달리 지식서비스나 사회서비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저부가가치 서비스업종들의 비중이 크다. 또한 제조업과 서비스업간의 산업연관이 취약하여 서비스산업의 확대가 제조업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비즈니스 서비스, 금융 등 지식서비스부문에 있어서는 서울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편이다.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도 문제다. 서비스업 하면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산업이라기보다는 먹고 즐기는 업종으로 이해한다. 서비스산업의 육성을 강조하다 보면 제조업 포기론자로 오해받기도 한다.

인천도 선진 산업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서비스산업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구조조정을 통해 내실을 다지는 정책적 관심이 제고되어야 한다. 앞서 말한 지식서비스업종은 인천 제조업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만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서비스는 삶의 질과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취업취약계층이 접근하기 용이하고 고용흡수력이 상대적으로 커서 일자리 창출면에서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부문이기도 하다. 이 업종들은 아직 산업 발전의 초기단계인 만큼 공공부문이 나서서 산업 환경을 조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서비스산업의 품질과 경쟁력은 전문 인력의 역량에 달려 있다. 따라서 서비스산업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인력 양성 프로그램 및 직업훈련 인프라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 최근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컨벤션 산업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성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수적인 서비스업종이긴 하지만 아직 충분한 교육콘텐츠와 인프라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인재 양성이 곧 일자리 창출의 기본이다. 전문인력의 유치도 중요하지만 우수 인재를 타지에서만 공급받는다면 그 일자리의 지속성은 보장받을 수 없을 것이다.

정부는 작년 4월부터 'Service PROGRESS'라는 이름으로 세 차례에 걸쳐 서비스산업 선진화 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올해도 당면한 경제위기의 극복뿐만 아니라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서비스산업 선진화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서비스산업을 내수 회복과 일자리 창출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인천 경제의 현안인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정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