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이란 거품에 가려진 도시재생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지만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은 정치 논리와 결코 무관하지 않았다. 이미 정치적으로 이용된 서울시의 뉴타운 뿐 아니라 경기도와 인천시의 도시재정비촉진사업, 주택재개발·재건축사업 역시 정치적인 입김이 작용할 틈은 벌어져 있다.

선진국에서도 생소한 뉴타운이라는 용어가 처음 튀어나온 것은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재임했던 지난 2002년. 은평·길음·왕십리가 '시범 뉴타운지구'로 지정됐고, 이듬해 서울시는 '지역균형발전지원에관한조례'를 만들어 뉴타운사업을 체계화했다.

당시 뉴타운을 선택한 이유는 강남에 비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꼈던 강북 주민들 가슴에 팍 꽂힐 만 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시범 뉴타운지구 중에서는 SH공사가 전면 수용해 개발하는 은평지구만 '새로운 도시'인 뉴타운에 가깝다. 하지만 길음이나 왕십리 같은 구도심 재생도 뉴타운사업으로 포장됐다. 이후 구청장과 시의원, 주민 등의 뉴타운 지정 요구가 밀어닥쳐 현재 서울에는 균형발전촉진지구를 뺀 뉴타운사업지구만 따져도 26개나 된다.

본격적인 도시재생 역사가 2년 조금 넘은 경기도 역시 뉴타운으로 불리는 도시재정비촉진지구가 벌써 20개다. 추가로 지정·고시될 지구가 5개다.

도시재정비촉진지구는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선출직 시장·군수가 요건을 갖춰 신청하면 도시재정비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인천경제자유구역과 구도심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내항과 경인고속도로·경인전철 축을 중심으로 여러 개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경실련 김송원 사무처장은 "속도가 너무 빠르다"며 "지방자치단체장이 표를 의식해 임기 안에 사업을 진행하려고 한다. 원주민들의 의견은 무시된 채 사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인천지역 재개발·재건축사업 등의 도시정비예정구역은 총 180곳. 앞으로 도시정비예정구역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주민들이 요건을 갖춰 도시정비예정구역 지정을 요구하면 시는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 완화 방침과 지역경제 활성화 시책이 도시정비 수요와 개발심리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