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중앙도서관 로비에 일반열람실 좌석이 만석이라는 안내문이 나붙어 있는 가운데 열람실 자리를 잡기위해 학생과 시민들이 길게 줄서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도서관은 지식기반사회 소프트 파워의 구심점이자 지식경쟁력의 원천이다. 이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평생학습도시를 선포하고 공공도서관과 평생학습관 건립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인천시도 이를 의식, 도서관 확충을 골자로 한 '문화예술기반시설 확충 계획'을 최근 내놓았다.

시의 도서관 확충 계획에 따르면 현재 16개인 공공 도서관은 오는 2018년까지 30개를 새로 지어 모두 46개를 확보하게 된다.

연도별로는 오는 6월 개관하는 인천시립도서관을 비롯 영종도서관(3월 개관 예정), 수봉도서관(5월 개관 예정) 등 3개의 공공도서관이 올해 신규 개관하는 것을 시작으로, 2010년과 2011년에 각 8개, 2012년과 2013년에 각 3개, 2014년~2018년에 5개의 공공도서관을 새로 짓게 된다.

얼핏 보면 도서관 확충과 관련해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질 것 같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 보면 결코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다.

2008년 기준으로 인천시의 도서관 1곳 당 인구수는 전국 대도시 중 가장 많은 16만2천252명이다. 시는 2018년까지 30개의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면 문화체육관광부의 권장기준(인구 6만명 당 1곳)을 충족시키게 된다고 밝혔다. 결국 10년이 지나야 가까스로 문화체육부의 권장기준을 충족시키는 셈.

더욱이 인천시의 도서관 확충 계획에는 인천의 인구 증가 추이도 반영되지 않았다.

수많은 대형 프로젝트가 송도국제도시 등 경제자유구역을 비롯, 구도심에서 진행중인 인천의 경우, 세계10대 명품도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2020년, 인구가 350만명에 이를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계획대로라면 10년이 지나도 문화체육관광부의 권장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은 요원한 실정이다.

각각 8개씩 다른 연도에 비해 '획기적으로' 도서관을 많이 짓는 2010년과 2011년의 도서관 확충 계획도 실현될 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대규모 개발사업과 연계해 민간사업자가 공공도서관을 건립, 시에 기증토록 한다는 게 시의 계획으로, 민간사업자와의 협의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시가 기증받으려 하는 도서관은 2010년 2개, 2011년 3개 등 5개다.

시는 공공도서관의 보완책으로 문화소외지역 등을 중심으로 주민자치센터 등 유휴 공공시설을 리모델링, '생활 밀착형 작은 도서관'으로 꾸미는 사업을 추진중이나 적정 부지나 유휴 공공시설을 확보하기가 여의치 않아 이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남구 지역에 작은 도서관을 건립할 때는 유휴 공공시설을 찾지 못해 빈집을 사들여 도서관으로 꾸미기도 했다. 시는 현재 10개인 작은도서관을 2013년까지 55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도서관 확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공감한다"며 "그러나 도서관 건립의 걸림돌은 예산보다는 부지 확보 문제로, 사업 추진과정에서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 또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민들은 "수십년째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는 도서관수에 대한 뉴스를 보면 분통이 터진다"며 "인천시는 여전히 개발 만능주의에만 매몰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는 신경쓰는 시늉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