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업체들이 다른 지방의 업체들보다는 경쟁력이 앞선다고 하지만 자금력이나 시공능력은 여전히 서울의 대형업체들에 못미친다는 게 솔직한 평가입니다."

위기에 빠진 경기지역 건설업계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와 공기업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역업체 배려도 필요하지만, 한편으로 지역 건설업체들 스스로가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대형업체에 유리한 방향으로 발주방식이 바뀌는 등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경쟁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업체들 스스로 규모와 시공능력을 키우고, 지자체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수년간 도내 건설업체수(일반건설+전문건설)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01년 말 6천452개에 머물던 도내 건설업체수는 2003년 말에는 7천145개, 2005년말에는 8천643개, 그리고 지난해 10월에는 9천238개로 늘었다.

하지만 업체가 느는데도 도내에서 발주되는 공사의 도내 업체 수주비율은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 지난 2002년 39.4%까지 높아졌던 도내 발주공사에 대한 도내업체 수주율은 2003년 36.5%, 2004년 35.2%, 2005년 34.5%, 2006년 32.1% 등으로 하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중소업체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발주방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도내 건설업체들의 규모와 경쟁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한국은행 경기본부는 '경기지역 건설업의 최근 동향 및 과제' 보고서를 통해 "도내 건설업체수 증가와 외지 건설업체의 도내 유입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소업체에 불리한 공공공사 발주방식이 확대돼 자금력과 일괄시공 능력이 부족한 지역 중소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보고서는 이같은 분석과 함께 건설업체 및 업계의 대응방안, 지자체의 적극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대형민자사업(BTL) 방식 및 최저가 낙찰제 확대 등으로 공사수주에 있어 외형과 자금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업체들 스스로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화를 추진하고 도내 업체간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공동수주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도내 중소업체들도 신기술과 신공법 개발 등을 통해 시공능력을 향상시키고 해외건설공사 참여 등으로 수주선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지역내 건설관련 단체의 경우에는 이같은 인수·합병을 지원하는 한편, 전략적 제휴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공방법, 신기술 정보 등을 업체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건설업체의 수주 다변화를 위해 우수 해외건설 관리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도 및 일선 지자체의 경우에는 지역 건설업체가 공공공사 입찰시 신기술이나 신공법을 적용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으로 도내 업체들의 시공능력 향상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