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라경제자유구역 공사 현장에서 나온 개흙이 인천 외곽지역에 무단 투기되고 있는 가운데 사업 주체인 토지공사와 아파트 분양 건설사들이 사업 초기부터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지 않아 문제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특히 올 말부터 1공구에 이어 청라경제자유구역 2공구 공사가 예정돼 있지만 건설사와 토지공사는 서로 책임을 떠넘긴 채 아무런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엄청난 양의 개흙이 야산과 농경지 등에 마구잡이로 버려질 가능성이 높다.

아파트 건설사의 경우 사업 초기부터 정확한 사토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건설사들은 공사현장에서 나오는 흙을 어디에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서를 만들지만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개흙이 얼마만큼 나올 것인가에 대해 정확한 예측을 하지 못했고, 토지주와의 문제로 중간에 사토장 계약이 파기되는 경우도 있어 계획 자체가 말 그대로 '계획'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관련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청라경제자유구역에 아파트를 짓고 있는 A업체 관계자는 "일반 흙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 지역에서 난데없이 개흙이 나오는 경우도 많고 공사 도중에 사토장 계약이 변경돼 다른 곳을 찾아야 하는 등 사토계획 자체가 유동적인 것은 사실이다"고 말했다.

사업주체인 토지공사도 건설사들에 택지분양만 한 후 향후 개흙처리에 대한 방안을 고민하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개흙 무단투기 문제가 불거지자 청라경제자유구역 내에 66만㎡의 임시 사토장을 만들어 돈을 받고 업체들이 사용하도록 했지만 총 100만㎥의 흙을 쌓을 수 있는 공간 중 벌써 60만㎥ 이상의 개흙이 반입돼 당장 다른 부지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 3월에는 수도권매립지에 공문까지 보내 청라지구 내에서 발생하는 개흙 일부(280만㎥)를 처리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측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매립지공사는 엄청난 양의 개흙을 마땅히 쌓아둘 공간이 없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건설사 측은 토지공사에 사토장 부지 마련을 계속 요구하고 있고, 토지공사 측은 아파트 공사와 관련해서는 시공업체가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맞서고 있다.

토지공사 관계자는 "원칙적으로는 건설업체들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도 "우리도 문제 해결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