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종 오염원 유입에다 수질관리 소홀로 오염도가 심화되고 있는 굴포천 전경. 김포시와 경기개발연구원 등은 굴포천 오염원이 쉽게 드러나는 만큼 각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도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종택기자 jongtaek@kyeongin.com
굴포천 수질개선 책임은 비단 관련 지자체만의 몫이 아니다. 2011년 경인아라뱃길(경인운하)이 준공될 경우 굴포천은 김포터미널 부근 지하수로를 통해 한강으로 방류될 계획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991년 '굴포천 종합치수사업 기본계획'에 이어 '경인운하로 굴포천 수질이 개선될 것'이라고 홍보해 왔던 한국수자원공사 역할이 부각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 오염원 부하 커진다= 경기개발연구원이 3월 발간한 '경인운하가 김포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굴포천 유역내 인구·가축·공장 등 점오염원의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이 모두 증가일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가축과 공장은 2011년과 2016년, 2021년 모두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T-N(총질소), T-P(총인) 등 오염발생·배출부하량이 일정한 반면 150만명 운집 인구의 부하량은 각 측정항목별로 4~15%(발생부하량), 14~16%(배출부하량)씩 점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측은 "굴포천이 현 상태로 경인운하에 합수될 경우 운하 수질오염은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수질을 최소한 3등급으로 유지해야만 오염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권고한 바 있다. 3등급 수질은 BOD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가 6PPM 이하여야만 가능하다.

■ 해수 합수가 수질개선?= 수자원공사는 ▲하수종말처리장 확충 ▲배후단지 개선 ▲산업폐수 저감 등과 함께 해수 유입·합수로 굴포천 수질개선이 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하지만 하수처리장 등은 인천·부천 등 지자체 예산만 수백억원씩 소요되는데다 상·하류 BOD가 100PPM이 넘는 굴포천이 해수와 합수될 경우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때문에 수중폭기장치 설치, 준설 등 수자원공사가 운하 내 주운수로에 계획중인 수질개선방안들이 굴포천에도 도입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시진 경기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현재 BOD 등 굴포천 수질은 생활하수에도 못 미치는 썩은 물로, 물 교환 등에 의한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면서 "경인운하에 굴포천이 유입되지 않는다 해서 수자원공사 책임이 없는 것이 아니며, 전체사업으로 굴포천 수질을 다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