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염원 부하 커진다= 경기개발연구원이 3월 발간한 '경인운하가 김포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에 따르면 굴포천 유역내 인구·가축·공장 등 점오염원의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이 모두 증가일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가축과 공장은 2011년과 2016년, 2021년 모두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T-N(총질소), T-P(총인) 등 오염발생·배출부하량이 일정한 반면 150만명 운집 인구의 부하량은 각 측정항목별로 4~15%(발생부하량), 14~16%(배출부하량)씩 점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측은 "굴포천이 현 상태로 경인운하에 합수될 경우 운하 수질오염은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수질을 최소한 3등급으로 유지해야만 오염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권고한 바 있다. 3등급 수질은 BOD나 COD(화학적 산소요구량)가 6PPM 이하여야만 가능하다.
■ 해수 합수가 수질개선?= 수자원공사는 ▲하수종말처리장 확충 ▲배후단지 개선 ▲산업폐수 저감 등과 함께 해수 유입·합수로 굴포천 수질개선이 가능하다고 맞서고 있다. 하지만 하수처리장 등은 인천·부천 등 지자체 예산만 수백억원씩 소요되는데다 상·하류 BOD가 100PPM이 넘는 굴포천이 해수와 합수될 경우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때문에 수중폭기장치 설치, 준설 등 수자원공사가 운하 내 주운수로에 계획중인 수질개선방안들이 굴포천에도 도입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시진 경기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현재 BOD 등 굴포천 수질은 생활하수에도 못 미치는 썩은 물로, 물 교환 등에 의한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면서 "경인운하에 굴포천이 유입되지 않는다 해서 수자원공사 책임이 없는 것이 아니며, 전체사업으로 굴포천 수질을 다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