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주요 눈 질환으로는 굴절이상, 사시, 약시, 선천적 질환(백내장, 녹내장 등), 안성형 질환(첩모내반, 부안검, 안검하수), 망막질환(미숙아 망막병증, 망막변성, 안종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만약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견되거나 의심이 되면 소아안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눈이 바라보는 방향이 다르다 ▲눈을 심하게 부셔한다 ▲물건을 볼 때 눈을 많이 찌푸린다 ▲물건을 볼 때 너무 다가가서 본다 ▲고개를 기울이거나 얼굴을 옆으로 돌려서 본다 ▲양쪽 혹은 한쪽 눈꺼풀이 처져 있다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자주 비빈다 ▲일정한 곳을 주시하지 못하고 눈이 고정이 안 된다 ▲미숙아였거나 유전질환, 눈에 관련된 질환의 가족력이 있다 ▲생후 6개월이 되어도 눈을 잘 맞추지 못한다.
사시(斜視)란 한 쪽 눈의 동자가 안쪽으로 모이거나 밖으로 벌어지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항상 나타나기도 하고 피로할 때 나타나기도 한다. 신생아 때는 일시적으로 눈이 불안정해 사시처럼 보일 수 있으나 3~6개월이면 정상으로 돌아온다.
사시가 어린이에게 나타났다는 것은 시력발달에 장애가 되어 약시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시의 치료로는 그 종류에 따라 다르나 대개 의사와 환자, 보호자의 협조 아래 가림치료, 안경사용, 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게 된다.
약시란 시신경이나 망막 등 안구에 기질적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안경으로 교정해도 정상시력이 나오지 않는 시력장애를 말한다.
보통은 시력표로 교정시력을 재서 두 눈 시력이 많이 차이날 때 나쁜 쪽 눈을 약시안이라 한다. 약시는 6세 이전에 치료해야 치료가 가능하며 치료시작 시기가 빠를수록 치료의 성공률이 높다. 이 시기를 놓치면 치료가 매우 어렵게 된다. 약시의 치료로는 시력이 더 좋은 쪽 눈을 가려줌으로써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해 시력을 회복시키는 '가림치료', 시력이 더 좋은 쪽 눈에 아트로핀 안약을 점안해 약시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는 처벌치료와 안경교정, 안검하수 수술 등의 방법이 있다.
이와함께 어린이들의 근시, 원시, 난시의 치료로는 성인들과 마찬가지로 안경을 사용해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것이 눈의 건강에 바람직하다. 6세 이하의 어린이라도 필요한 경우 안경을 써야 하는데 이 경우 특히, 안과전문의의 정확한 안과적 검사를 통해 적절한 안경 처방을 받아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안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만 4세이후 6개월에 한번씩 안과 정기검진을 받고 눈의 이상 발견시 조기치료가 최선의 방법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수원이안과(http://www.119e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