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동훈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
[경인일보=]GRDP(지역내 총생산)는 GDP(국민총생산) 지역 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GRDP와 1인당 GRDP를 각각 지역경제규모와 지역주민의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하는 예가 흔하다. 그래서인지 높은 GRDP 성장세를 제시하면서 지역 경제성장의 성과를 홍보하기도 하고 반대로 지역이 낙후되었다는 증거로 낮은 1인당 GRDP를 거론하면서 지역불균형의 폐해라고 언성을 높이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곤란한 측면이 강하다. 우선 전국 시도의 1인당 GRDP 통계를 보면 상식적인 예상과 크게 벗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2007년 기준 1인당 GRDP가 제일 높은 곳은 울산이고 충남, 전남, 경북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서울의 1인당 GRDP는 5위에 불과하고 전국 평균보다 다소 높지만 큰 차이가 없다.

평균적으로 서울 사람들이 전남 주민들보다 가난하다면 누가 믿을까? 수년전에 서울시 부탁으로 서울의 현황을 진단했던 OECD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몰라 고개를 갸우뚱거리기만 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주로 수도인 경제활동 중심지의 1인당 GRDP가 타 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고 그게 상식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우리나라의 GRDP 집계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국세청은 법인사업자의 공장에서 상품이 출고될 때 부가가치세와 교통세를 징수하고 이 자료를 토대로 한국은행이 GDP와 GRDP를 추정한다. 그런데 작은 업체는 별 문제가 없으나 대형 제조업체의 경우 본사는 대도시에 있고 공장은 중소도시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본사에서 기획, 마케팅, 연구개발 등 많은 일을 해도 GRDP 통계에 반영이 되지 않는다.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일수록 이런 기능이 중요한데도 말이다.

이 방식으로도 어차피 본사와 공장이 모두 대한민국 안에 있으면 전국 지표인 GDP 추정에 문제가 없지만 GRDP는 지역 간 비교에 부적합한 자료가 되어버린다. 큰 공장이 많은 지역의 GRDP는 크게 나타나고 서비스업이 발달해 있고 기업의 본사가 많은 지역의 GRDP는 작게 나타난다. 그 결과 1인당 GRDP는 부산, 광주, 대전, 대구가 꼴찌 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울산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도시화로 인해 대도시에 큰 공장이 드물기 때문이다. 일반시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전문가나 여론주도층 인사 대다수도 이런 배경에 대한 이해가 없어 잘못된 분석이 이루어지거나 지역주의가 조장되기도 한다.

인천은 대도시치고는 비교적 제조업 비중이 높은 편이라 1인당 GRDP가 울산과 서울을 제외한 다른 광역시보다 높지만 전국 평균에 못 미쳐서 얼핏 보면 동북아비즈니스 중심도시 또는 명품도시를 지향하는 위상에 어울리지 않게 보인다. 앞으로도 GRDP에 관한 한 이런 인상은 쉽게 지워지지 않을 수 있다. 경제자유구역과 도시재생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인천의 제조업 비중은 축소되고 서비스산업 비중이 높아질 것이다.

재개발로 인해 이전하는 공장들이 늘어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전략산업인 국제업무, 물류, 관광·레저, R&D 등이 모두 서비스업에 해당되며, 제조업이 경제성장에 중요하지만 높은 지가 때문에 양산형 대규모 공장이 인천에 입지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IT와 BT산업도 연구개발 중심이거나 아파트형공장이나 벤처빌딩에 입주하는 소규모 첨단 제조업체 비중이 커지며, 양산형 대형 공장은 외지에 있고 인천이 머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생산성 발전은 기술에 크게 좌우되므로 제조업 경쟁력의 원천은 R&D이다.

기획과 마케팅 등 경영의 중요성도 크다. 그러나 향후 인천의 역할이 중요해지지만 GRDP에는 그 효과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GRDP 통계만 들여다보고 인천이 발전한다더니 제자리에 있거나 뒤로 처진다고 타박하거나 공장 이전에 크게 민감해하지 말고 여러 지표를 같이 보아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