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노랑진 정진학원·대치동 및 사당동 대학국민학원·압구정 정보학원 강사, 현 KT 정보에듀 온라인·곰TV 곰스쿨 강사
(1)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
1) 1920년대 만주 지역 독립군 부대의 출현
① 배경 : 3·1 운동 이후 민족 역량에 대한 자신감, 무장 투쟁의 필요성 절감
② 전개 : 1920년대 만주, 연해주를 중심으로 30여개의 무장 독립군 부대 조직
서간도 | 북간도 |
․ 서로군정서군 : 신흥 무관 학교 중심 ․ 광복군 사령부 : 임시 정부 직속 부대 ․ 기타 : 광한단, 대한 독립 의용단, 보합단 | ․ 북로군정서군 : 대종교 중심, 청산리 대첩 ․ 대한 독립군 : 대한 국민회 중심, 봉오동 전투 ⇒대한 국민회 산하 국민회군, 군무 도독부군과 연합 활동 |
군사력 강화 : 체계적, 조직적 군사 훈련 실시 ⇒ 활발한 국내 진입 작전 전개 |
2) 독립 전쟁의 승리
① 봉오동 전투(1920. 6.)
대한독립군(홍범도), 군무도독부군(최진동), 국민회군(안무) ⇒ 일본군 1개 대대 격파
② 청산리 대첩(1920. 10.)
북로군정서군(김좌진), 대한 독립군(홍범도), 국민회군 훈춘 사건 ⇒ 6일간 10여 차례 전투에서 대승
3) 독립군의 시련
① 간도 참변(경신참변, 1920) : 한인 1만여 명 학살, 민가 2,500여 채 소실
⇒ 대한 독립군단(서일 중심, 밀산부) 결성(1920. 12.) ⇒ 소련 영토로 이동
② 자유시 참변(1921) : 적군(러시아 혁명군)에 의한 강제 무장 해제
4) 미쓰야 협정(1925) : 독립군 탄압을 위해 일제와 만주 군벌 장쭤린 사이에 체결
5) 독립군 재정비(1924 ~ 1925)
① 3부 성립
구 분 | 내 용 | |
종류 | 육군 주만 참의부 | 압록강 유역, 임시 정부 직할 부대 |
정의부 | 남만주(오동진, 지청천) | |
신민부 | 북만주, 자유시 참변 이후 귀환한 독립군 중심(해산된 대한독립군단이 중심) | |
성격 | 군사 조직(군정기관) + 행정 조직(민정기관) ⇒ 만주 조선 사회 자치 조직 - 입헌 정치 조직까지 완비 | |
의의 | 동포 사회에서 선출한 임원으로 입법, 사법, 행정부 구성 ⇒ 북간도를 제외하고 만주 교포 사회를 통치한 사실상 3개의 정부 |
② 3부 통합 운동
㉠ 국민부(1928, 남만주) - 조선 혁명당, 조선 혁명군
㉡ 혁신 의회(1929, 북만주) - 한국 독립당, 한국 독립군
(2) 1930년대 독립 전쟁
1) 한국 독립군과 조선 혁명군의 활동(1930년대 초반)
① 한·중 연합 작전의 배경 : 만주사변(1931)
② 한국 독립군(북만주 지역)
㉠ 한족총연합회의 계승 : 김좌진, 한국독립당(한국독립군)으로 발전(만주 동북 지역)
㉡ 중국 호로군과 연합 : 사령관 지청천
⇒ 전과 : 쌍성보 전투(1932), 경박호 전투(1932), 사도하자 전투(1933), 동경성 전투(1933),
대전자령 전투(1933)
㉢ 1930년대 후반 대부분 중국 본토로 이동
③ 조선 혁명군(남만주지역, 서간도)
㉠ 총사령관 양세봉, 중국 의용군과 연합
㉡ 영릉가 전투(1932), 홍경성 전투(1933) - 1930년대 후반 이후까지 지속
④ 약화
㉠ 1930년대 이후 일본군의 대토벌 작전㉡ 중국군의 사기 저하
㉢ 한·중 양군의 갈등으로 연합 전선 와해
2) 만주 지역 항일 유격 투쟁(1930년대 후반)
① 배경 : 사회주의 사상 전파(1920년대), 조선인 빈농 이주 활발
② 공산주의자들의 항일 투쟁
㉠ 추수 투쟁, 춘황 투쟁(1931)
㉡ 소작료 인하, 생존권, 자치권 확보 요구 ⇒ 항일 무장 투쟁 전개(유격대 결성)
③ 동북 인민 혁명군 결성(1933)
㉠ 사회주의 계열 항일 무장 투쟁 : 만주에 남아있던 사회주의 계열 항일 유격대 + 중국 공산당 유격대
㉡ 자치 정부 수립 : 토지, 사회 개혁 실시 ⇒ 동북 항일 연군으로 개편(1936)
④ 조국 광복회의 결성(1936)
㉠ 동북 항일 연군 조선인 간부 중심
㉡ 反일 통일전선 실현: 모든 계층과 단체가 이념, 노선을 떠나 단결할 것을 주장
㉢ 목적 : 독립적 인민 정부 수립 ⇒ 국내 천도교 등 민족주의자 참여
⑤ 보천보 전투(1937) : 국내 신문에 크게 보도
- 동북 항일 연군 내 한인 항일 유격대가 함경남도 갑산 보천보에 침투
⇒ 경찰 주재소, 소방서, 면사무소 등 방화, 파괴
3) 조선 의용대와 조선 의용군(1930년대 후반) - 민족 연합 전선 형성 노력
① 조선 민족 혁명당 결성(1935) : 의열단, 조선 혁명당 등 5개의 정당단체 참여
⇒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열 불참
② 특징 : 임시 정부계를 제외한 중국 관내 독립 단체의 대부분 참여, 김원봉 주도
⇒ 민족주의계 + 사회주의계 : 통일 전선 단일 정당
⇒ 토지 국유화, 민주 공화국 수립 강령 ⇒ 내부 갈등 팽배
⇒ 민족주의 계열(조소앙, 지청천 등) 이탈 ⇒ 임시 정부 계열로 흡수
③ 조선 의용대 조직 : 중일 전쟁(1937) 이후 조선 민족 혁명당이 조직
⇒ 중국 국민당의 지원 - 정보 수집, 포로 심문, 후방 교란 임무 수행
④ 변화 : 지도부를 제외한 조선 의용대원 대부분이 화북 지방으로 이동(1941)
⇒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 결성 - 호가장 전투(1941. 12.), 반소탕전(1942. 5.)
⇒ 충칭 조선 의용대와 지도부는 한국 광복군에 합류(1942)
(3) 1940년대의 독립 전쟁
1) 통일전선 임시정부의 성립
① 한국 국민당 조직(1935, 김구, 조소앙)
② 한국 광복 운동 단체 연합회 결성(1937) : 한국 국민당, 한국 독립당, 조선 혁명당
③ 전국 연합 진선 협회(1939): 민족주의 + 사회주의
④ 한국 독립당(1940, 위원장 김구)으로 통합
⑤ ‘건국 강령’ 발표(1941, 조소앙, 삼균주의 : 개인, 민족, 국가 간 평등 강조)
⇒ 조선 민족 혁명당의 임시 정부 합류, 조선 의용대 충칭 본대의 한국 광복군 합류
2)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
① 1940년 충칭 창설(신흥 무관 학교 출신 중심) : 김원봉의 조선 의용대 병력 합류(1942)
⇒ 정식 군대 조직
② 활동 :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1941) ⇒ 대일 선전 포고(1941. 12.)
㉠ 영국군과 연합 작전(1943, 인도, 미얀마) ; 문서 번역, 정보 수집, 포로 심문 등
㉡ 미국군과 합동 작전(1944) ; 미국 전략 정보처(OSS) 소속 국내 진입 작전 시도
㉢ 국내 정진군 편성 : 총사령관 이범석 중심, 특수 훈련, 비행대 편성
3) 조선 독립 동맹과 조선 의용군
① 화북 조선 청년 연합회 결성(1941.1.) : 최창익, 허정숙 등
⇒ 화북 지역 공산주의자 + 조선 의용대 화북 지대
② 조선 독립 동맹(1942, 조직 확대, 개편)
조선 의용대 대다수 흡수, 김두봉 중심 ⇒ 조선 의용군 조직 : 중국 팔로군과 연합 작전, 화북 조선 청년 혁명 학교 설립 ⇒ 일제 패망 후 중국 국공 내전 참여 ⇒ 북한 인민군에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