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은 전통적으로 야당 세력이 강한 곳으로 분류돼 왔지만, 분당신도시 형성 이후 17대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53.5%를 득표하고 18대 총선에서도 국회의원 4석을 모두 한나라당이 석권하는 등 한나라당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서민층 거주지역인 수정과 중원은 어느 당도 압도적 우위를 자신하지 못할만큼 지지세가 양분돼 있다. 한나라당의 비교 우위속에 전통적인 야당 지지세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곳이 바로 성남이다. 이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는 한나라당 공천의 향배, 이에 대응한 야권의 결집 여부 등이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 한나라당
최고 7~8명의 후보군이 거론되고 있지만 스스로 의사를 밝혔거나 출마가 유력한 인사는 4~5명선이다.
먼저 특유의 뚝심을 바탕으로 국회의원 3선, 시장 재선을 거치는 동안 구축된 이대엽 시장의 20년 아성이 매우 견고하다. 구시가지 개발과 각종 도로망 구축, 고도제한 완화 추진 등에서 보여준 추진력과 현역 시장으로서의 프리미엄도 빼놓을 수 없는 강점이다. 그러나 야당으로부터 끝없이 공격받아온 '친인척 특혜의혹' 문제와 지난해 하반기부터 언론의 집중포화가 쏟아졌던 호화청사 논란 등이 악재다. 지역정가에서는 이 시장이 '무조건 출마한다'는 관측이 우세, 공천 여부가 초미의 관심이다.
지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성남부시장을 지낸 양인권 전 경기도시공사 제1본부장은 이미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시장 출마를 전제로 한 행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 한나라당 성남시장 예비후보로 등록, 치열한 공천경쟁을 벌인 바 있는 양 전 본부장은 오랜 공직 경력과 충청권을 비롯한 폭넓은 지지기반 등을 내세워 활발한 지역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2002년부터 1년6개월여 성남부시장을 역임한 서효원 도자진흥재단 대표 역시 경기도행정2부지사까지 지낸 다양한 공직 경력과 행정 능력을 바탕으로 한나라당 공천전에 뛰어든 상태다. 공·사석에서 틈나는대로 성남의 획기적 발전 청사진을 제시하는 등 출마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황준기 여성부 차관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지역정가에서 한나라당 공천의 최대 변수로 꼽히고 있는 인물.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세제본부장,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 등 요직을 거친 공직 경력과 이명박 대통령의 정권인수위원회에 형인 황영기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함께 참여한 경력 등으로 현 정권과의 교감설, 전략공천설까지 나돌고 있다. 본인은 말을 아끼고 있지만 주변에서는 출마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밖에 이태순 전 도의회 한나라당 대표, 이성희 농협중앙회 감사위원장 등도 꾸준히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 민주당
한나라당의 치열한 공천 경합에 비해 민주당은 출마구도가 비교적 단순화된 양상이다.
우선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성남시장 후보로 나섰던 이재명 변호사가 일찌감치 출마의지를 밝힌 상태다. 민주당 부대변인으로 성남시의 크고 작은 현안에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온데다, 호화청사 논란, 친인척 특혜의혹 등 이 시장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우며 대항마 이미지를 키워왔다. 수차례 선거에서 잇따라 패배하며 흩어진 야권 지지자들을 어떻게 결집해 낼지가 과제다.
지난 18대 총선 패배후 이렇다할 활동을 보이지 않았던 조성준 전의원의 출마 여부도 관심사다. 15대, 16대 국회의원으로 2006년부터 노사정위원장을 맡는 등 당내에서는 아직 중량감있는 인물로 꼽힌다. 지난해부터 21세기 지방자치포럼 등을 통해 활동반경을 넓히고 있다.
■ 기타
민노당은 충성도 높은 지지층을 기반으로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후보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 민노당 시장 후보로 나섰던 김미희 전 성남시위원장과 18대 총선에 중원구 후보로 나섰던 정형주 전 경기도당 위원장이 거론된다. 김 전 위원장은 이미 출마의사를 밝히고 나선 상태인 반면 정 전 위원장은 당과 당원들의 뜻을 따르겠다며 신중한 입장이다.
자유선진당에서는 지난해 하반기 백성진 중원구당협위원장이 출마의사를 밝히면서 활동폭을 넓히고 있다. 한나라당 중원지구당 사무국장과 부위원장을 지낸 백 위원장은 젊은 패기와 충청권의 지지 등을 내세워 표심을 공략할 것으로 보인다.
※ 지역현안
'분당시' 독립설 통합 골머리… 고도제한 완화 해묵은 숙제
성남시의 최대 현안은 역시 하남·광주와의 행정구역 통합이다.
하남·광주 시의회가 지난해 연말 각각 통합을 찬성 의결한 반면, 성남시의회는 본회의장을 봉쇄해 가며 의결 저지에 나선 야당의 반발에 부딪쳐 오는 20일부터 열리는 임시회에서 찬반 의결이 예정된 상태다.
판교 입주와 함께 '분당시 독립' 주장까지 제기될 만큼 분당지역의 통합 반대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거세, 당론으로 반대하고 있는 야당은 물론 한나라당 내부에서조차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상태다.
통합이 무산될 경우 여야간 이해 득실이 어떻게 작용할지도 변수다.
행정구역 통합의 반대급부로 조심스레 해결 조짐이 보이고 있지만, 서울비행장을 둘러싼 고도제한 완화문제 역시 해를 넘긴 현안문제다. 40여년간 성남 발전을 가로막은 최대 걸림돌로 인식되며 여야가 한목소리를 내왔다.
민노당 등 야권에서 줄기차게 주장해온 구 시청사 부지의 시립병원 설립 문제도 쟁점이고, 성남 구시가지의 재개발·재정비 사업, 분당지역의 리모델링 사업, 판교신도시의 입주 마무리 등도 당면과제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자체의 호화청사 논란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신청사 문제도 여전히 불씨가 살아있고 위례신도시 개발도 성남시 발전과 맞물려 빼놓을 수 없는 관심사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