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투표란 고대 로마 때부터 민회(民會)에서 시행했지만 전체 국민의 본격적인 국민투표는 1852년 나폴레옹의 조카인 루이 나폴레옹의 경우가 처음이었다. 쿠데타로 임기 10년의 대통령이 되자 국민투표로 추인받은 뒤 스스로를 나폴레옹3세라 불렀던 것이다. 그런 프랑스는 1945~80년 간 무려 18번이나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69년엔 드골이 국민투표 패배로 하야(下野)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독일도 1934년 히틀러가 국민투표로 총통에 취임했고 55년 자르(Saar)의 서유럽화(化)도 국민투표로 결정했다. 잦을 땐 월 1회의 만능 국민투표 국가라면 단연 스위스가 꼽힌다. 공공택시 존폐여부, 알프스산맥에 무개(無蓋)화차가 통과토록 터널 2개를 뚫을까말까 여부 따위였다.
박정희 정권 때의 세 차례 등 6차례의 이 나라 국민투표는 찬성 일색이었다. 한데 영어로는 레퍼런덤(referendum)이나 플레비사이트(plebiscite)라 일컫는 '국민투표'라는 용어 자체가 좀 우습다. 그 어떤 선거든 국민투표가 아닌 '비(非)국민투표'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의원의 국민투표 '왈가'에 친박계와 야당이 '왈부'하고 나섰다. 세종시 문제란 솔로몬왕이 지혜주머니를 메고 재림해도 도무지 영 해법이 없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