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573_135770_4812
[경인일보=최해민·김혜민기자]경기지역으로 이전해 온 대학 캠퍼스 부지의 공시지가가 20년 전에 비해 최대 37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대학 캠퍼스 이전사업이 대학 입장에선 포기할 수 없는 '자산 부풀리기' 수단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래프 참조·관련기사 3면

특히 하남으로의 캠퍼스 이전과 인천 검단에 제3캠퍼스 건립을 추진 중인 중앙대의 경우, 현 안성 캠퍼스의 부지와 건물 등 자산을 매각해 이전 비용에 보탤 것으로 분석되면서, 안성 지역사회에서는 중앙대가 결국 헐값에 매입했던 안성 부지로 '땅장사'를 한 뒤 타지역으로 이전한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경인일보가 1970년대부터 경기지역으로 이전해 온 경희대, 명지대, 한국외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등 6개 대학 캠퍼스 부지의 1990년도부터 공시지가 변동추이를 분석한 결과, 캠퍼스별로 최대 37배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 국제캠퍼스(용인 소재)의 경우 1991년 3.3㎡당 1만8천원이던 공시지가가 지난해 67만8천원까지 올라 가장 많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수원 소재)는 1990년 3.3㎡당 5만1천원에서 지난해 101만원으로 무려 19.8배 올랐다.

명지대 자연캠퍼스(용인 소재)도 같은 기간 2만4천400원에서 44만9천원(18.7배)으로 상승했고, 중앙대 안성캠퍼스와 한양대 안산캠퍼스 부지는 각각 3.6배, 1.6배 상승했다. 이들 대학 주변 부지의 공시지가도 최대 31배의 상승추이를 보였다.

경기지역 연간 평균 공시지가 상승률이 2%에 불과한 점과 비교할 때 이들 대학 캠퍼스 부지는 천문학적인 시세차익을 자산가치로 안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중앙대가 안성캠퍼스 부지를 매각해 하남 캠퍼스 이전과 인천 제3캠퍼스 건립 비용을 마련한다는 설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더구나 이들 6개 대학을 비롯, 현재 경기도로 대학 캠퍼스 이전을 추진 중인 대학들이 모두 본교는 두고 캠퍼스 '일부'만 떼어내 이전했거나 이전을 준비 중이란 점은 결국 땅매각에대한 여지를 남겨뒀다는 의혹을 받기에 충분하다.

한 대학 관계자는 "실제로 일부 사립대 관계자로부터 '경기도로의 이전사업은 부동산을 매입해 자산가치를 불리려는 의도가 있다'는 얘기를 들은 적 있다"며 "대학이 연구분야에 대한 투자보다는 땅이나 건물을 늘리려는데 혈안이 돼 있는 것도 옳지 않지만, 이를 무분별하게 지원하고 있는 경기도와 지자체도 이해가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