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오지희기자]로봇랜드는 깊숙이 들여다보면 겉으로 드러난 문제만큼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도 수없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공들여 풀어야 할 숙제- 콘텐츠 확보와 운영

로봇랜드는 투자 회수 시기를 개장 후 10여년이 지난 2024년께로 예상하고 있다. 로봇랜드의 주수입원은 고객 입장료와 상품 구매액이다. 입장객 수와 상품 구매량은 로봇랜드에 어떤 시설물이 들어서는지, 어떤 캐릭터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한마디로 콘텐츠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로봇랜드의 수익과 성패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콘텐츠의 질과 양이 풍부해야 로봇랜드가 목표로 세운 연간 관람객 수(280만명)는 허수가 되지 않는다. 또 콘텐츠 기획이 잘돼 있어야 콘텐츠 공급을 위한 연계산업도 발전할 수 있다. 적자가 날 경우 국·시비가 지원된다는 법 조항은 없다. 성패를 감당해야하는 건 온전히 로봇랜드의 몫이다.

로봇랜드는 현재 테마파크 전체 콘셉트 마스터플랜을 짜놓고, 수정작업을 하고 있다.

로봇랜드는 이달 말일까지 각 존의 콘셉트와 스토리라인, 각 어트랙션(시설·공연물)의 면적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세운 뒤 5월부터 기본설계 작업을 진행하고 12월께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그런데 문제는 어트랙션별 콘셉트와 테마를 기획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것이다. 각 어트랙션에는 스토리 라인이 형성되고, 엔터테인 요소에 로봇 기술이 접목돼야 한다.

로봇랜드 관계자는 "국내에는 로봇 기술을 접목시킨 어트랙션 기획자가 많지 않고, 해외 전문가들은 국내 정서를 반영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는데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했다.

▲ 로봇랜드의 보조 캐릭터인 손오공.

■ 좀처럼 풀리지 않는 숙제-로봇대학원 설립과 외투법인 전환

로봇랜드가 국내 최초로 로봇만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로봇대학원을 설립하겠다고 했지만 그 과정도 순탄치 않다.

지난해 11월 로봇랜드와 카이스트가 로봇대학원 설립에 대한 실무회의를 가지면서 대학원 설립이 구체화되는 듯했다. 그런데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로봇대학원을 운영하는데 드는 비용 등을 카이스트가 요구하고 나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로봇대학원은 설립비만 300억원이 넘어 로봇랜드는 운영비 요청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는 카이스트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로봇대학원에 지역 대학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로봇랜드는 현재의 SPC를 외투법인으로 전환해야 하는 숙제도 갖고 있다. 법인 전환을 하면 세제 혜택을 받고 운영비를 줄여갈 수 있다. 현재 로봇랜드 SPC에 참여한 외국 기업은 홍콩의 이벤트업체 한 곳이며 지분율은 미약하다. 연초 인천로봇랜드는 사업부지 소유주인 인천도시개발공사(도개공)와 부지 매입비를 문제로 첨예한 갈등을 빚었다. 문제는 로봇랜드가 전체 땅 값 중 73억원은 현금으로 지불하고, 나머지는 로봇랜드 시설 중 일부를 도개공에 양도하는 쪽으로 해결을 봤다. 이 문제는 SPC가 외투법인으로 전환됐다면 조성 원가로 땅을 구입해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였다. 문제가 어렵게 풀리면서 로봇랜드에는 주인이 많아지게 됐다. 도개공이 양도받은 시설물을 스스로 운영하지 못할 경우 제3자에게 운영을 넘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 최근 도개공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목적 외 사업으로 진행하는 로봇랜드 사업을 정리하라는 개선명령을 받아 로봇랜드의 앞날은 점치기 어렵게 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민간주주들이 내달 증자에 참여할 계획이며, 로봇랜드가 해외에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있어 조금만 더 외국 자본을 늘리면 외투법인으로의 전환은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조성법인인 현재의 SPC가 준공시 운영법인으로 전환되면서 도개공의 사업 참여 부분이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