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대답은 테러에 반대하는 보편적인 글로벌 가치에 호소해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내고, 자국 중심의 국가 이익 추구에서 글로벌 역할의 증대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개혁 개방후 중국은 경제개발이라는 대원칙하에 외교에 있어서 도광양회(실력이 있으나 들어내지 않는다) 전략을 구사하였다. 가능한 국제문제에 개입하지 않고, 자국의 경제발전에 매진하는 자기이익적인 정책이었던 셈이다. 후진타오 주석이 취임한 2003년부터 화평굴기(평화적으로 대국화) 정책이 시작되었음에도, 국가이익 중심의 좁은 시각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G2로 일컬어질 정도로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지만, 중국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속에서 대외관계를 수행하고 있다.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는 중국의 자원외교가 전세계로 퍼지고, 아프리카에 대한 공적개발원조가 대규모로 진행되면서도, 중국은 자국이 여전히 개발도상국의 하나이면서 정치적인 영향이 작은 국가로 치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제사회에서는 중국이 국제사회의 이슈를 무시하고, 무임승차(free riding)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왜냐하면 자국의 이익이 결부된 곳에서는 집요하게 나오고, 자국과 큰 상관없는 글로벌 이슈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않는 극도의 이기적 행태를 보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21세기들어 중국은 다자적인 협의 과정을 통해 변모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6자회담에서의 의장국 역할 수행이며, 기타 국제적 이슈에 대해서도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에 걸맞는 입장을 보이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국의 인접 지역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서는 여전히 국가이익적 관점이 글로벌한 가치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중국이 글로벌한 가치를 중국의 국가 이익의 틀 속에 넣어 운용한 것이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와의 다자협의체인 상하이 협력기구다. 신장 위구르자치구의 분리 독립운동이 중앙아시아의 회교민족주의와 결합할 것이 두려워, 테러주의·분리주의·과격주의라는 세 가지 요소에 반대하는데 합의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하여 중국은 지역내 안정을 이루고, 반테러 연합전선이라는 글로벌 가치를 기준으로 자국의 문제를 해결하였던 것이다.
천안함 사건 역시 분명한 테러이자 과격한 공격이다. 천안함 사건의 희생자는 비록 군인이지만, 그 테러로 인한 일차 피해는 죄없는 가족들이며, 한국민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안긴 것이다. 이러한 비열하고도 과격한 행위는 그 누가 저질렀든 국제사회의 가치 기준에 맞추어 배격되어야 한다. 북한에 대한 전략적 가치가 물론 중국의 국가이익에 사활적이라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중국은 점차 강대국화하고 있고, 비핵화 통일 한반도는 어느 열강의 전초기지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의 북한에 대한 전략적 이해도 과거의 좁은 국가 이익에서 출발한 것일지도 모른다. 글로벌한 가치 기준에 맞추어 성숙한 행동을 하도록 이번에 중국에게 요청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미래 동북아의 평화에서 중국은 긴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