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대교 영종요금소 부근 도로 고속버스 추락사고 희생자 가족들이 4일 오후 현장검증이 실시되고 있는 영종요금소 부근 사고현장을 찾아 파손된 도로시설물 등을 살펴보고 있다. /김범준기자 bjk@kyeongin.com

[경인일보=차흥빈·임승재·김민재기자]24명의 사상자를 낸 인천대교 고속버스 추락사고는 관련자들의 총체적 안전불감증이 부른 인재로 드러나고 있다.

■ 인천대교(주), 고장차량 방치

마티즈 차량은 고장으로 사고 지점 옆 2차로 도로에 멈춰서 운전자가 보험회사로 전화한 낮 12시59분부터 고속버스가 추락한 오후 1시15분까지 최장 16분간 도로 중앙 2차로에 방치돼 있었다. 도로관리 주체인 인천대교(주) 측에서 고장 차량이 전방에 있다는 사실을 화물차와 고속버스 운전자들이 알 수 있도록 안전 조치를 취했다면 참사는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문제의 16분, 그 당시 인천대교(주) 측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인천대교에는 총 23개의 CCTV가 설치돼 있다. CCTV 화면을 통해 상황실에서는 인천대교 전 구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지점 인근에 설치된 CCTV는 사고 당시 두 개의 주탑이 서 있는 사장교 구간을 향하고 있었다. 인천대교(주) 관계자는 "사장교(주탑이 있는 부분) 일대에 안개가 껴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해 대부분의 CCTV는 그 방향으로 고정돼 있었다"고 해명했다.

■ 안전삼각대만 설치했어도…

마티즈 차량 운전자 김모(46·여)씨의 무리한 운행 사실도 드러나고 있다. 요금소 통과직후 인천대교 직원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가 불량한 것 같으니 고치고 가는 게 좋겠다'는 말을 들었지만 김씨는 운행을 계속했다. 요금소로부터 사고지점까지는 500m. 차량이 고장으로 멈춰선 뒤에도 김씨는 비상등만 켜놨다. 안전삼각대 등 뒤따라오는 차량들이 고장 사실을 알 수 있는 조치만 제대로 했더라도 참극은 피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 3일 오후 인천대교 영종요금소 부근에서 발생한 고속버스 추락사고 부상자가 인천시 중구 인하대병원 응급실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 제 역할 못한 가드레일… 부실시공 의혹

사고 고속버스는 70~80㎝ 높이의 철제 가드레일을 뚫고, 10m 아래 지하차도 공사 현장으로 추락했다. 사고 직후 약 2㎜ 두께인 가드레일은 충격을 못 이기고 바깥쪽으로 완전히 찌그러져 있었다. 땅속에 박혀 있던 2~3개의 지주대 기둥은 충격으로 뽑혀 나가다시피 했다. 지주대를 받치고 있는 콘크리트 기초 공사도 돼 있지 않았다. 관련 규정상 방호시설인 가드레일은 기초 콘크리트 매설을 한 후 40㎝ 깊이로 매설하게끔 돼 있다. 콘크리트 타설을 하지 않고 지주대를 일반 흙에 세울 경우에는 140㎝ 이상 깊이로 매설해야 한다. 그러나 지주대 매설 깊이는 이에 훨씬 못 미쳤다. 충격을 흡수해야 할 가드레일 중심축이 힘 없이 밖으로 넘어간 것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경찰은 가드레일이 강도 등 규정과 설계에 맞게 시공됐는지 여부에 대해 수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