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이런 공식적·비공식적인 발언과 보도는 왜 나오는 것일까? 그것은 새롭게 변화하는 동북아 정세로 중국의 외교정책 기조가 흔들리고 있고, 그 속에서 과거의 좁은 국가이익 관점과 글로벌시대 중국의 역할 사이의 괴리가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일련의 사태는 중국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지속적 경제발전 추구를 통한 강대국 건설'이라는 국가목표를 위협할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개혁개방 후 지속적으로 경제발전을 가장 주요한 국가목표로 추구하면서, 외교적으로는 중국 국경지역인 '주변지역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였다. 21세기 들어 주변지역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었다고 확신하자, 강대국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하려 하였다. 그러나 북핵관련 6자회담 등을 통해 다자적인 외교무대에 등장하고, 글로벌 경제 위기를 통해 G2로서의 위상이 언급되고 있지만, 아직 중국의 다자외교적인 역할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천안함사건이 터지면서, 6자회담에서의 역할은 물론 주변지역인 한반도의 안정이 위협받는 사태가 오자, 중국은 자국에 미칠 파장에 크게 긴장한 것이다. 더군다나 한반도에서 한-미간 대규모 군사훈련이 이뤄지고, 또 다른 주변지역인 남중국해의 영토분쟁마저 다자적인 이슈화가 되자, 중국의 경각심은 최고에 달하고 있는 것 같다. 당연히 중국의 반응은 점차 신경질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 시점에 중국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자국이 취해야할 외교적 기조를 새롭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중국은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다자적 해결을 반대하면서, 한반도문제에 대해서는 6자회담의 재개라는 다자적 입장을 선호하는, 모순되면서도 다분히 좁은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서해(황해)나 기타 '중국 근해'에서 중국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외국의 활동을 단호하게 반대하면서도, '우리 영해'인 한국의 서해에서 기습적 공격으로 이뤄진 천안함사건과 그에 따른 우리의 안전에 대해서는 다른 척도를 대고 있다. 중국이 가상대상이 아닌 한-미간 '적극적 방어훈련'에 대해서는 민감하지만, 동아시아 안정을 위협할 요소가 많은 북한의 '적극적 공격'인 천안함사건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한 것이다.
우리는 중국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새로운 외교적인 입장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새로운 입장은 협애한 중국의 국가이익 측면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닌 진정한 동아시아 전체의 안정과 지속적 협력이라는 틀속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이런 틀속에서만 중국의 주변 지역이 안정되고, 중국의 국가목표인 경제발전이 더욱 이뤄지며 중국의 세계적 역할과 위상도 올라갈 것이다. 급속한 한-중 양국의 경제관계 발전과 문화 사회적 교류의 증가로 한국내 중국의 위상도 올라가고 있다. 바람직한 한-중 양자관계의 발전은 물론, 동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중국의 냉정한 정책검토가 필요한 것 같다. 더 이상 한국에게만 일방적으로 설움과 인내를 강요할 수는 없다. 공존 공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