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정진오기자]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준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경기장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가 최근 인천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측에 각 경기장 현황을 제출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인천시는 정작 각 종목별 경기장 위치를 어디로 할 것인지는 물론이고 새로 지을 것인지, 기존 것을 활용할 것인지조차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민간자본으로 짓기로 했던 대부분의 경기장이 무산될 처지에 놓였다. 여기에 주경기장 건설 문제는 정치적 쟁점으로 비화한지 오래이고, 대회 준비의 중추 조직인 '조직위원회'와 '지원본부' 간에는 의견조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총사업비 초과로 인한 정부의 타당성 조사까지 다시 받게 될 경우엔 내년 초까지 사업이 '올스톱'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갈 길 바쁜 인천 아시안게임 경기장 신설 문제가 갈수록 늪에 빠지는 양상이다. 담당 직원들은 '곳곳이 지뢰밭'이라고 아우성이다. ┃관련기사 3면
인천시는 38개 종목을 치르기 위해 경기장 40곳이 필요하다고 보고 준비해 왔다. 기존에 있는 5곳의 경기장을 활용하고, 12곳은 예산을 들여 새로 짓고, 8곳은 민간에서 부담토록 하기로 했다. 그리고 15곳은 경기도와 서울 등 인접 도시의 경기장을 빌려 쓴다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절반이 넘는 경기장 확보 계획에 문제가 발생했다. 민간 부문과 인접도시에서의 확보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민간에 맡기기로 했던 것 중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하기로 한 검단(탁구, 유도)과 청라지구(펜싱, 레슬링) 경기장 사업은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극심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LH가 사업 포기 의사를 밝혔기 때문이다. 또한 수도권매립지(골프, 조정·카누, 사격, 승마, 수영)의 경기장 확보도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인천시와 수도권매립지 사업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서울시가 '매립 기한 연장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어서다. 영종도 왕산해수욕장 쪽에 마련하기로 한 요트장 또한 앞이 안 보인다. 사업비의 대부분을 충당해야 할 민간사업자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대로 진행되는 민간 부담 경기장은 축구장인 숭의경기장 뿐인 셈이다.
인접지역의 경기장 확보 문제 역시 시원하게 해결된 곳은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시는 경기장을 총 40개에서 50개로 10개나 더 늘리겠다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경기장을 더 지어야 한다는 조직위원회와 예산 문제로 추가 증설은 어렵다는 지원본부 사이에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고 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각 쟁점별로 어느 쪽으로든 빨리 결정이 나야 일이 이루어질 터인데, 지금으로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하루 빨리 방향이 서야 대회 준비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월요기획]亞게임 경기장 확보 비상
주경기장 건설 '정치 쟁점화'… 민간 조성 대부분 무산위기
입력 2010-08-29 23:0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0-08-30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문학경기장 활용' 서구 반발… LH 자금난에 새 계획 세워야
201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