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임승재기자]매년 우리나라는 각종 사고로 12만5천명의 중증 외상환자가 발생해 이 가운데 1만1천여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

문제는 적정한 치료를 받지 못해 안타깝게 사망하는 중증 외상환자가 연간 3천500여명에 달한다는 것이다.

중증 외상환자를 전담 치료하는 병원과 전문 의료진이 부족하고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응급처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탓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중증 외상환자를 전담할 '권역외상센터'를 전국 6개 병원에 설치해 외상 응급 전문의가 24시간 수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상 전문 치료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생명이 위독한 환자를 신속히 병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이른바 '닥터헬기'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대한응급의료지도의사협의회(회장·이근, 가천의대길병원 기획부원장·서해권역응급의료센터 소장)가 주관하고, 가천의대길병원(이사장·이길여)이 후원한 '2010 EMS(Emergency Medical System, 응급의료시스템) 하계 심포지엄'이 26~27일 송도 라마다호텔에서 열렸다. 정부의 정책 수립에 앞서 국내외 전문의들이 국내 외상 치료체계의 현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한 자리였다.

이날 토론자로 나온 허영주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현재 응급 의료기관과 중증 외상 특성화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 의료진과 시설, 장비 등이 미비하고 안정적인 재정지원 체계도 부재한 실정이다"며 정부가 추진중인 외상 치료체계 관련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허 과장은 "전국 6개 권역에 중증 외상환자를 전담하는 거점 센터를 건립하고 전문 수술팀이 24시간 가동되는 시스템을 갖출 것이다"며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현실에 맞는 별도의 수가체계를 구축하고 적자 보전을 위한 지원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바람직한 외상 진료체계의 모형'이란 주제로 발표를 했다. 김 교수는 "광역외상센터를 중심으로 신속한 중증 외상 판정(의료진 동승 구급차·헬기 수송), 병원 전 응급처치, 전달체계(병원간 이송), 정부의 권역외상체계 관리, 기금 지원과 적절한 외상수가 등의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정부는 관련 예산을 개별 의료기관이 아닌 광역자치단체에 주는 방식으로, 운영 성과를 평가해 차등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광역자치단체의 책임과 권한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건의료와 소방을 연계하는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는데 효과적이다"고 강조했다.

양혁준 대한응급의학회 정책이사(가천의대 교수)는 외상센터의 모델을 제시했다. 그는 "광역외상센터는 외상의학과, 정형외과, 내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 등 24명의 전문의로 구성된 외상 전담 치료팀이 있어야 하고, 최첨단 장비를 갖춘 독립적인 시설이 필요하다"며 "외상 치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연구활동을 벌이는 것에 있어서도 권역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