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각급 학교는 책걸상 교체, 냉난방 시설의 설치, 실내체육관 건립, 화장실 개조, 컴퓨터 확충 등 투자할 곳이 많다. 그런데 전학생 무상급식 실시로 이러한 사업들이 추진되지 못하는 것은 큰 문제이다. 일각에서는 국가예산 중 낭비성 예산을 절약하면 무상급식에 필요한 예산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런 주장이 이전에는 왜 없었는가? 학교에서 환경개선사업 등에 필요한 예산이 부족해 이리 뛰고 저리 뛰고 지자체에 지원을 요청한 일이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 학교환경개선 사업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를 위해 낭비성 국가 예산을 줄이자는 주장을 필자는 이전에 들은 적이 없다. 뭔가 석연치않은 논리 전개이다. 필자는 무상급식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무상급식 체계가 올바르지 못하다는 것이다. 무상급식을 상급기관인 교육청에서 결정하고 지자체가 무조건 대응 투자하게 하는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많은 지자체들은 무상급식 예산 확보로 인해 학교환경개선 사업비를 마련하지 못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식비를 충당할 수 있는 학생들은 제외하고 가정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무상급식을 실시하고, 여기에 투자할 예산은 모든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교환경개선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정도인 것이다. 사업의 우선순위가 뒤바뀐 것이다. 필자는 무상급식은 기초자치단체에서 실시 여부를 결정하고 교육청은 이에 대응하여 투자비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치단체별로 학교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기초자치단체가 교육자치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첫 걸음이 되는 것이다. 과천시의 입장에서 더욱 이해가 안가는 것은 금년에 교육청의 무상급식 사업 지원 대상에서 재정이 좋다는 이유로 과천시는 제외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내년에도 다른 지자체에 대해서는 50% 이상을 지원하면서 과천시는 30%만 지원하겠다고 한다. 모든 학생에게 공평하게 무상급식을 실시하겠다는 경기도교육청의 논리가 왜 도시간에는 차등을 두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 과천 이외 타 지자체는 과천보다 형편이 어렵다는 것이 드러나도 자존심이 상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일까? 모든 정책에는 일관성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