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윤성 (국회의원(인천 남동갑))
[경인일보=]또다시 중부지방고용노동청(옛 경인지방노동청)의 경기도 이전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 문제는 지난 2002년, 2007년, 2008년에도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경기도 및 경기도의회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경인지방노동청을 경기도로 옮겨가야 한다고 주장, 인천·경기 정치권을 비롯한 노동계와 경제계가 갈등을 빚게 한 단골 메뉴다. 본 의원이 국회부의장으로 일하던 지난 2008년에도 경기도가 지방 정치권을 앞세워 국정감사에서 노동부 장관을 상대로 경인지방노동청의 경기도 이전을 요구하다, 당시 환경노동위 소속이던 본 의원의 강력 반발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경인지방노동청의 경기도 이전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논리는 단순하다. 인천보다 경기도의 기업체와 인구수가 많으니 인천에 있는 경인지방노동청을 경기도로 가져가겠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중부지방노동청은 1965년 인천에 인천지방노동청으로 설립돼 광역시 승격 이후 경기도를 아우르며 경인지방노동청으로 개편됐다가 근래 강원도까지 관할 지역으로 하는 중부지방고용노동청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다. 이같은 경우는 인천광역시뿐만이 아니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6개 지방청이 광역시와 특별시에 청사를 두고 있어 인천에 지방청이 있는 게 훨씬 타당성이 높다. 경기도 요구대로 인구가 많아 경인청을 경기도로 가져가야 한다면 대전청, 대구청, 광주청도 모두 인근 도로 이사 보내야 할 판이다.

특히 인천은 중국의 성장으로 대중국 수출 첨단기지 역할을 하게 돼 미래 노동행정 수요에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인천에 있으면서도 고용 업무 지원에 큰 문제가 없었던 것은 경기도에 이미 8개의 지청과 16개소의 고용지원센터가 설치돼 있고 강원도엔 4개소의 지청과 1개소의 출장소 및 고용지원센터가 운영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행정 대부분이 전산 처리되는 상황에서 청사 위치를 놓고 싸우자고 나서는 것 자체가 난센스다.

더구나 1981년 인천이 경기도에서 분리될 때 주요 기관 상당수가 수원으로 빠져나간데다 수도권이라는 이유로 주요 기관 일부가 지방으로 이전, 구도심 공동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는 인천의 현실을 무시하고 강제적으로 경인지방노동청까지 빼앗아가겠다는 경기도의 발상 자체에 문제가 있다.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 노사 상생 등을 위한 정책 발굴에 촌각을 다퉈야 할 고용노동부가 특정 지역의 목소리에 휘둘려 지역간 마찰을 유발하며 청사 이전 계획을 세운다면 이는 국민통합이 아니라 국민을 이간질시키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인천은 지난 11월23일 북한군의 연평도 기습 포격으로 민간인이 숨지고 민가가 불바다가 되면서 졸지에 변방으로 밀리게 된 것에 대해 시민들의 불안과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역에 잘 있는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청사까지 타 지역에 빼앗긴다면 시민들의 박탈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이 자리를 빌려 송영길 인천시장도 손놓고 있지 말고 지역의 자존심이 걸린 문제에 대해서는 행정 우선순위를 넘어 지역 정치권 및 노동계, 경제계와 힘을 합쳐 인천시민들이 더이상 소외되지 않게 해 주길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