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강승훈기자]영종 미개발지가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 퇴출되는 데 원인을 제공한 '깡통주택' 여파(경인일보 2010년 12월 29일자 1·3면 보도)가 인근 용유·무의지역으로 번질 전망이다. 용유·무의 일대에 보상을 노리고 지은 가건물 수백여 채가 빼곡하게 들어차 있어 사업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4일 인천경제청 등에 따르면 용유·무의지역은 2003년 정부 관광단지 개발 계획에 반영되며 큰 밑그림을 그렸다. 이후 2007년 7월 시와 독일 캠핀스키(Kempinski) 컨소시엄이 기본협약을, 2009년 5월 민·관 합동으로 협의체(PMC)가 구성되며 일정에 가속도를 냈다.

을왕·남북·덕교·무의 4개동이 포함된 면적 24.4㎢ 부지에 문화·관광·레저·복합도시를 만드는 대형 프로젝트다.

초기 사업비는 지장물 보상 규모, 기반시설 조성 등을 감안해 9조원가량으로 정해졌다. 그러나 현재 10조2천억여원으로 훌쩍 뛰었다. 상당수가 보상비 급증에 따른 것이다. 이곳은 사업 구상이 외부에 알려지던 2005년 9월 인천경제청에서 건축허가를 규제했다. 난개발 방지 차원에서다.

문제는 2년이 흐른 2007년 9월부터다. 당시 개발 일정의 변경으로 건축 제한 조치가 잠시 풀렸고 그러면서 투기자본이 물밀듯 몰려왔다. 경제청은 서둘러 2008년 3월 건축행위를 차단했지만 한발 늦었다.

'깡통주택'이 우후죽순으로 이미 들어섰거나 한창 지어지고 있었다. 경제청이 내준 용유·무의지역 건축 건수는 2007년 6~12월 최소 11건, 최대 69건에 머물렀다. 그러나 2008년 들어서며 대폭 늘어나 3월에는 159건에 달했다. ┃표 참조

이때를 기준으로 용유·무의 프로젝트의 보상 비용은 1조2천억~1조3천억원이 확대, 지금에 이르렀다. 행정당국의 안일한 대응이 투기 자금을 제때 차단하지 못한 것이다.

경제청 관계자는 "과거 이곳의 마스터플랜을 통합 구상으로 변경하며 건축제한이 풀렸다"면서 "지금의 악영향을 예측하기는 힘들었던 시기"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