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명호·이현준기자]인천·경기·강원을 관할하는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하 중부노동청)의 수원 이전에 대한 지역사회 반발의 핵심은 중부노동청이 인천에서 갖는 역사성과 정체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데 있다.

수도권의 첫 공업도시로 성장해 온 인천과 그러한 인천에서 반드시 필요했던 노동행정. 인천과 중부노동청은 그 맥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60년대 초부터 인천은 정부의 1, 2차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근대 공업도시로 면모를 갖춰 나갔다. 국내 제일 소비시장인 수도권과의 지리적 인접성, 수·출입 중심항인 인천항, 매립을 통한 수월한 공업용지 확보 등의 이점은 급속도로 '공업도시 인천'을 만들어갔다.

중부노동청의 시초인 '인천산업재해보상보험사무소(이하 산재사무소)'는 인천의 공업화가 한창이던 1965년에 문을 열었다. 서울 이후 수도권의 첫 사무소 개소였다.

8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인천지역 공단에선 1년에 잘린 손가락이 두 마대나 나온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였다는게 중부노동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산재를 예방하고 피해보상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중부노동청의 출발이었다.

이후 산재업무는 물론 노사분규, 직업안정 등으로 역할이 늘어나 '노동부지방사무소' 체제로 개편되고 1987년 인천지방노동청, 1998년 경인지방노동청, 2010년에는 중부노동청으로 승격됐다.

국내 노동운동의 중심지로 평가받는 인천은 80~90년대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현장근로자들의 목소리가 봇물을 이뤘다.

대우자동차, 동서식품, 코스모스전자, 세창물산 등의 노사분규가 대표적인 예다.

경인지방노동청은 인천은 물론 경기도까지 관할구역을 넓혀가며 지난 45년간 수많은 현장근로자들과 함께 했다.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대(對)중국 무역 활성화에 따른 인천의 대외환경 변화, 국내 노동구조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인천에 새롭게 나타나는 노사관계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중부노동청은 인천에서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노총 인천본부 관계자는 "대외적인 여건이 변했다고 해서 중부노동청의 정체성을 흔드는 것은 말이 안되는 일"이라며 "노동부의 조치는 근래에 예상되는 새로운 노동수요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아랫돌 빼서 윗돌 괴는 격'의 사례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