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이후 10년간 인천경제를 진단한 결과, 인천은 여전히 제조업 중심경제이지만 기계·자동차 등 전통업종 중심이고 IT·반도체와 같은 지식기반 제조업의 비중은 아직 약하다는 현실을 드러낸다.
또한 제조업체들은 생산성 향상에 실패하여 낮은 성장세에 허덕이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300인 이상인 중견 기업수가 10년 전보다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결과가 말해 주는 것은, 인천경제는 지식경제시대에 적합한 업종전환에 실패했으며, 중소제조업의 메카이지만 성장통로가 막혀 있거나 혹은 성장기업들이 지역을 떠난다는 문제로 집약할 수 있다. 이 현상들은 '경제수도'를 목표로 하는 인천시의 경제정책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말해주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인천 제조업의 지속적인 부진에서 파생되는 가장 큰 부작용은 인천경제의 중심축을 서비스업 쪽으로 옮기자는 견해와 맞서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천경제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편견이지만, 제조업의 성장속도가 지지부진하다 보니 무시할 수 없는 설득력을 축적해 왔다. 인천은 지역특성상 항만과 공항 등 물류 인프라가 강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생각은 단견에 불과하다.
본질적으로 서비스업은 제조업보다 생산성이 낮은 편이며, 서비스업은 생산성이 증가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없다. 또한 서비스 상품은 교역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출능력이 약하다. 서비스는 본래 동일 지역에서 거래가 발생하는 상품이다. 협소한 내수시장 때문에 언제나 경제활동의 돌파구를 해외시장에서 찾을 수밖에 없었던 한국경제를 생각할 때, 수출이 어렵다는 것이 얼마나 큰 한계인지를 실감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인천경제가 진정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의 지식산업화만이 진정한 해법이라는 믿음을 가져야 할 때이다.
인천경제는 남동산업단지로 대표하는 제조집적지로서 자리매김하면서 한국경제의 성장과정에서 큰 역할을 맡아왔다. 이렇듯 한국경제에서의 뚜렷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중소제조업체들 중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기업수가 놀랍게도 10년 전보다 오히려 감소하는 현상을 맞고 있다. 실제로 300인 이상 종사자 규모의 사업체는 1999년 56개에서 2008년에는 25개로 31개 감소했다. 이는 창업, 생존, 성장, 도태, 재창업이 직조하는 기업 흥망성쇠의 흐름에서 무언가 오류가 발생했다는 의미이다.
인천경제에서 중견기업이 감소한 이유로 다음 두 원인을 지목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통로가 없다는 이유이며, 다른 하나는 중견기업이 되는 즈음에 인천을 떠나기 때문일 것이다. 두 가지 중 어떤 이유이든, 중견기업에 대한 성장지원이 인천시 경제정책에서도 중요하다는 점이 부각된다.
보통 중소기업 지원정책은 영세한 기업을 정책대상으로 설정하지만, 인천에서는 중견기업들이 진정으로 필요한 기능, 예컨대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는 정책을 '중견기업육성책'이라는 타이틀 아래 차별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 지역경제에서 중견기업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중소기업들의 성장생태계를 선순환 체계로 만들어서 수익사슬을 원활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지역경제에서 투자주체와 수요처로서 기능하는 대기업 없이 경제활동을 펼쳐야 하는 인천으로서는 특히 중요할 것이다.
인천시는 '경제수도 인천'을 위한 정책동력들에 시동을 걸고 있다. 제물포스마트타운을 비롯해서 남동산업단지의 구조고도화 등이 그 정책들의 단면일 것이다. 인천시의 경제수도 추진정책은 인천제조업의 지난 10년간 궤적이 노출한 현상과 진단을 성숙하게 담아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