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이현준기자]인천지역 버스 1대당 운송 수입금이 같은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타 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준공영제에 따라 운송 수입금을 버스업체에 보전해줘야 하는 인천시로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정부의 물가 인상 억제 방침과 요금 인상시 우려되는 시민 반발 등으로 인해 논란이 예상된다.

21일 인천시의회 지방재정건전화 특별위원회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버스의 하루 대당 운송 수입금은 33만3천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부산, 대구 등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6개 도시의 '1일 대당 운송 수입금'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다.

부산이 47만4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은 41만2천원, 대구는 36만9천원의 '1일 대당 운송 수입금'을 기록했다.

반면, 인구대비 하루 시내버스 이용률은 43.4%로, 이용률이 가장 높은 서울(43.91%) 다음으로 높았다.

버스 이용률은 높지만, 운송 수입은 적은 상황이 빚어지는 것이다.

시는 타 지역에선 없는 지선버스와 간선버스간 300원의 요금 차이를 낮은 운송 수입금의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타 지역의 경우, 준공영제 도입시 지선버스와 간선버스간 요금 차이를 없앴지만, 인천은 지선버스의 요금을 인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로 인해 현재 인천지역 간선버스는 현금 기준 1천원, 지선버스는 700원의 요금 차이가 수년째 유지되고 있다.

시는 버스 1대당 운송 수입금을 높이기 위해선 지선버스의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공공물가 인상을 억제하는 정부 정책과 요금 인상시 우려되는 시민 반발 등을 이유로 쉽게 요금 인상을 결정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버스 요금의 인상이 유일한 해결책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