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이현준기자]지난해 인천지역 버스 1대당 운송수입금이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타 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것(경인일보 2월 22일자 23면 보도)으로 나타난 가운데, 버스의 노선 효율성도 준공영제 도입 이후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버스 노선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인천발전연구원이 발표한 '준공영제 시행 이후 인천시내버스 노선효율성 분석연구'에 따르면 수입금공동관리 준공영제 시행 이후인 2010년 5월의 간·지선 버스노선의 평균효율성은 0.6014로 나타났다.

이는 준공영제 시행 이전인 2008년 12월 버스 노선의 평균 효율성인 0.6123보다 낮은 수준이고, 수도권 통합요금제 시행 전인 2009년 6월의 버스 노선 평균 효율성 0.6193보다도 낮은 것이다.

준공영제 도입 이후 시민 편의와 효율성 등을 높이기 위한 노선체계 합리화 작업이 필요했지만, 이 부분이 원활히 조정되지 못했다고 연구진은 지적하고 있다.

한종학 인발연 연구위원은 "준공영제가 갖는 본래 목적은 시민편의"라며 "버스 노선별 운행대수, 운행횟수, 배차간격 등을 조정해 비효율성을 낮추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상시적인 모니터링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에서 노선별 평균 효율성이란 버스운행 대수와 운행거리, 배차간격, 운행횟수 등 투입요소와 이용승객수, 운송수입금 간의 비율로, 0과 1 사이 값에서 1에 가까울수록 효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