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최근 늦게 귀가해보니 아내가 TV를 보며 울고 있는 게 아닌가? 무슨 영문인가 들여다 봤더니 '스타킹'이란 프로그램에 등장한 야식배달부 김승일씨 이야기 때문이었다. 그는 서울 유명대학 성악과에 들어갈 정도로 발군의 실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 병간호 등으로 대학을 휴학하고, 10년간 대학 동기들과 연락이 두절된 채 야식배달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병석에 있던 그의 어머니는 이미 세상을 떠났고, 현재 그의 대학 동기들은 국·공립단체 합창단원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김승일씨가 대학 동기들과 함께 노래하는 모습에 아내는 물론 나역시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그 프로그램을 시청한 후 며칠 동안 내 머리에는 '야식배달부 김승일'이란 사람이 떠나지 않고 있었다. 대신 허각 이란 친구처럼 감동적인 희망의 스토리로만 내 맘에 남은 게 아니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이 그를 위태롭게 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상처가 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함께 든 것이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야식배달부 김승일'이란 이름이 포털 사이트에 실시간 검색어 1위를 하고 있었고, 온 네티즌들의 환호와 지지의 글이 도배를 하고 있었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김승일이라는 친구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풀이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회성 방송과 시청자들의 순간적인 관심이 사라질 때, 그에게는 뜻하지 않은 상처로 남을 수도 있고, 나중에는 이 프로그램에 나온 것을 후회할 수도 있겠구나 라는 부정적인 생각마저 들게 됐다. 그래서 나는 전혀 안면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스타킹 담당 PD에게 용기를 내 전화를 걸었다. 담당PD는 구수한 사투리에 아주 친근한 느낌이었고, 서로 안면도 없는 첫 통화치고는 마음을 쉽게 열 수 있었다. 담당PD 본인도 스타킹의 진행자 강호동씨와 소주를 마시며 프로그램을 통해 많이 배웠고, 삶의 희망을 갖게 되었노라 이야기했었다고 했다.
며칠 후 나는 김승일씨와 담당PD를 만나러 방송국으로 갔다. 내가 그에 대해 이토록 관심을 갖는 건 어쩌면 방송과 대중의 속성을 좀 아는 시청자의 한 사람으로서 책임을 느꼈기 때문이다. 직접 만나본 김씨의 얼굴에는 깊은 슬픔도 있지만 건강함이 있었다. 그의 꽉 다문 입에선 굳은 의지가 보였고, 그의 눈에선 슬픔을 이겨낸 희망의 빛이 보였다. 그는 100일의 연습을 통해 더욱 성장한 모습으로 TV 화면에 나타나 우리에게 또 한번의 감동을 선물할 것이다. 스타킹의 역할은 사실 거기까지인 것이다.
그런데 우연일까? 나는 현재 경기도문화의전당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김씨는 경기도 수원에서 초·중·고교를 다녔고 야식배달도 수원에서 하고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100일 후 경기도문화의전당에서 '내 생애 첫번째 공연'이란 제목으로 김씨를 위한 생애 첫 번째 무대를 준비하기로 했다. 난 그가 파바로티처럼 늦은 나이에 성악을 시작해 세계적인 성악가가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엄마를 일찍 여읜 한 청년의 맘에 따뜻한 희망과 용기만이라도 생기길 간절히 바란다. 김씨는 지금 서울에서 일주일에 한번 레슨을 받고, 나머지 날에는 경기도문화의전당에서 연습을 한다. 그를 계속해서 지켜본 사람들은 그의 얼굴에 미소가 더 많아졌다고 한다. 느릿하게 나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면서 눈시울을 적시던 그의 얼굴과 말이 아직도 떠오른다 "제가 대학 다니면서 휴학 전까지 연습무대도 한번 못 서봤습니다…."
그의 생애 첫무대가 열리는 날 난 객석에 앉아 있을 것이고, 이사장이 아닌 관객으로서 그의 앞날에 희망과 용기가 함께 하길 기도하며 또 많이 울 것 같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도 내 눈시울은 붉어진다.